東義大事件、24年を経て犠牲となった警察官の追悼行事

1989年に起きた「東義大事件」、「5.3東義大事態」とも言われる事件で犠牲となった警察官のお墓は、その年のうちに大田顕忠院に設けられました。ここでニュースになっているのは、長官クラスの政府高官が参列して開催されたという意味において「初めて」の公式的な追悼式と、釜山警察庁に設けられた追悼碑の除幕式です。


'동의대사태' 희생 경찰 정부 차원 첫 추도식(종합)


동의대 사태 때 희생된 경찰관의 흉상.(자료사진)

유정복 안행부 장관 국무위원 자격 참석…24년만에 격식 갖춰
유족대표 "다신 이런 불행 생기지 않도록 사회가 힘 모아야"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 '5·3 동의대 사태' 때 희생된 경찰관을 추모하는 행사가 국무위원이 처음으로 참석한 가운데 3일 열렸다. 흉상 부조도 24년 만에 건립됐다.

경찰청은 3일 오전 10시 30분 부산경찰청 동백광장에 조성된 부산경찰 추모공간에서 '동의대 사태' 때 희생된 경찰관 흉상 부조 제막식과 추도식을 열었다.

제막식과 추도식에는 순직 경찰관 유족과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서병수 새누리당 사무총장, 이성한 경찰청장, 허남식 부산시장, 전몰군경 유족회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매년 단출한 추모 행사가 있었지만 올해 행사는 지난해 8월 '동의대사건 희생자 명예회복과 보상에 관한 법률'이 시행돼 고인의 명예가 회복된 후 처음 열리는 대규모 추도식이다. 유 장관은 국무위원 자격으로 처음으로 희생자 추도식에 참석했다.

유 장관은 "사회적 격변기에 발생한 희생 경찰관에 대한 명예 회복과 적절한 보상이 뒤늦게나마 이뤄저 기쁘다"면서 "국가 질서와 국민 안녕을 위해 헌신하신 분께 앞으로도 정부는 반드시 명예를 지켜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족 대표인 고(故) 정영환 경사의 형 유환(54)씨는 "절반의 명예 회복에 불과하지만 이런 자리가 마련되기까지 무려 24년이 걸렸다"면서 "불행한 경찰관과 우리와 같은 유가족이 다시는 생기지 않도록 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흉상 부조 제막과 함께 경찰청은 보상 입법에 힘을 보탠 이인기 전 국회의원 등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5.3 동의대 사태는 1989년 5월 3일 경찰이 동의대 중앙도서관에 잡혀 있던 경찰관 5명을 구출하기 위해 농성 중이던 학생들을 해산시키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 경찰관과 전투경찰 7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과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02년 4월 동의대 사태 시위자 46명은 민주화 운동가로 인정받았지만, 경찰관의 희생은 인정되지 않았다.

경찰관 유족은 동의대 사태를 민주화 운동으로 인정한 데 대해 재심할 수 있도록 헌법소원을 내며 강하게 반발했지만 헌법재판소는 2005년 10월 각하결정을 내렸다.

2009년에야 발의된 '동의대 사건 등 희생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우여곡절 끝에 지난해 2월 국회를 통과하면서 희생자들에 대한 공식적인 보상의 길이 열렸다.

올해 2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보상금심의위원회는 순직 경찰관 1인당 최고 1억2천700만원을 보상할 것을 최종 의결했다.

흉상이 들어서는 부산경찰 추모공간은 동의대 사태 발생 20년만인 2009년에 마련됐고 2년 뒤 국가 현충시설로 지정되면서 더욱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게 됐다.

제대로 된 장소에서 격식을 갖춘 추도식이 열리기까지 24년이 걸렸다. <사진·영상 있음>

2013/05/03 10:51 송고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5/03/0200000000AKR20130503074600051.HTML

‘동의대 사태’ 희생경관 청동 부조로 부활하다
기사입력 2013-05-03 03:00:00 기사수정 2013-05-03 10:15:03

[MIU당신을 잊지 않겠습니다]
순직 24년만에 3일 부산서 제막식… 유가족 “경찰 희생 더이상 없었으면”


부산지방경찰청 앞 추모공간에 마련된 동의대 사태 당시 순직한 7명의 경찰관과 전투경찰 부조(왼쪽). 오른쪽 공간에는 이들 7명을 상징하는 검은 추모석 7개가 국가를 수호한다는 뜻에서 참수리 날개처럼 반원으로 둥글게 설치돼 있다. 부산지방경찰청 제공

정면을 응시한 채 어깨에 계급장을 단 경찰 7명의 얼굴은 살아있는 듯했다. 그 곁에는 ‘해마다 한 맺힌 설움 다시 도져, 핏빛 장미 울음 터뜨릴 무렵 오월이 오면, 님들의 고혼을 어찌 달랠 수 있었으리까’라는 추모시가 적혀 있다. 1989년 동의대 사태 당시 숨진 경찰관과 전투경찰 7명을 추모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만든 부산 연제구 연산동 부산지방경찰청 앞 추모공간에 3일 공개될 부조다.

경찰청은 3일 오전 10시 반 이곳에서 ‘동의대 사태’ 24주기를 맞아 당시 희생된 경찰관 부조 제막식을 연다. 순직 경찰관 유족과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이성한 경찰청장, 전몰군경 유족회 등 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부조는 중앙에 고 최동문 경위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고 박병환 경사 정영환 경사 조덕래 수경이, 왼쪽에 고 서원석 모성태 김명화 수경이 자리 잡고 있다. 살구색으로 채색된 이들의 얼굴은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하다. 부조 제작에 들어간 청동은 총 100kg. 이를 제작한 한서대 문종승 교수는 손톱만 한 사진을 스케치해 형틀 작업, 밀랍 조형, 주물 작업, 그라인딩, 샌딩, 채색 작업을 거쳐 42일 만에 부조를 완성했다. 그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의 마음을 표현하려 했다”고 말했다.

동의대사건 경찰유족회 정유환 대표(54·고 정영환 경사의 형)은 “이제야 고인의 명예가 어느 정도 회복된 것 같다. 법질서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잃은 경찰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동의대 사태는 1989년 5월 3일 경찰이 동의대 중앙도서관에 잡혀 있던 경찰관 5명을 구출하기 위해 농성 중이던 학생들을 해산시키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해 경찰관과 전투경찰 7명이 사망한 사건.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 회복과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김대중 정부 때인 2002년 4월 동의대 사태 시위자 46명은 민주화 운동가로 인정받았지만 경찰관의 희생은 인정되지 않았다. 2009년 발의된 ‘동의대 사건 등 희생자의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 지난해 2월 국회를 통과하면서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의 길이 열렸다. 올해 2월 보상금 심의위원회에서 국가가 순직 경찰관 1인당 최고 1억2700만 원을 보상할 것을 최종 의결했다.

경찰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3일까지 동의대 사태 순직 경찰을 추모하기 위해 전국 경찰서에 ‘당신들의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당신들의 엄정한 경찰 정신을 이어 가겠습니다’라는 문구가 담긴 현수막을 설치했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그동안 남몰래 흘렸던 유가족의 눈물을 이제야 닦아주게 됐다”며 “국민의 눈높이에서 법질서를 수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용휘 기자·조동주 기자

http://news.donga.com/Society/3/03/20130503/54870441/1

“절반의 명예회복 이뤄지는데 24년이 걸렸다”
‘5·3 동의대 사건’ 희생 경관 7명 흉상 부조 건립

목록목록 메일메일 인쇄인쇄 글씨크기 폰트 크게폰트 작게 1989년 ‘5·3 동의대사건’ 때 희생된 7명의 경찰관을 추모하는 행사가 국무위원으로서는 처음으로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3일 열렸다. 순직 경찰관의 흉상 부조도 24년 만에 건립됐다.


▲ 3일 부산 연제구 부산지방경찰청 동백광장에서 열린 ‘5·3 동의대 사건’ 희생 경찰 추모식에서 당시 숨진 정영환 경사의 형 정유환씨가 동생의 흉상 부조를 어루만지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부산 연합뉴스

경찰청은 3일 부산지방경찰청 동백광장에 조성된 부산경찰 추모 공간에서 동의대 사건 순국 경찰관 추도식을 열었다. 추도식에는 유족과 유 장관, 서병수 새누리당 사무총장, 이성한 경찰청장, 허남식 부산시장, 전몰군경 유족회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매년 단출한 추모 행사가 있었지만, 지난해 8월 ‘동의대사건 희생자 명예회복과 보상에 관한 법률’이 시행돼 고인들의 명예가 회복되고 처음 열린 대규모 행사다. 사실상 정부의 첫 추도식인 셈이다. ‘5·3 동의대사건’은 1989년 5월 3일 경찰이 동의대 중앙도서관에 잡혀 있던 경찰관 5명을 구출하고자 농성 중이던 학생들을 해산시키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해 경찰관과 전투경찰 7명이 사망한 사건이다. 2002년 4월 동의대 사태 시위자 46명은 민주화 운동가로 인정받았다. 지난해 2월 숨진 경찰관도 보상받을 수 있는 법이 통과됐고, 올해 2월 보상금심의위원회는 순직 경찰관 1인당 최고 1억 2700만원을 보상할 것을 최종 의결했다.

유 장관은 “국가 질서와 국민 안녕을 위해 헌신하신 분께 앞으로도 정부는 반드시 명예를 지켜줄 것”이라고 밝혔다. 유족 대표인 고 정영환 경사의 형 유환(54)씨는 “절반의 명예회복이 이뤄지기까지 무려 24년이 걸렸다”면서 “동의대 사태 시위자들이 민주화 운동가로 인정받았던 ‘민주화 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돼 재심을 할 수 있어야 고인의 명예는 완전히 회복된다”고 말했다.

동의대 ‘5·3 동지회’는 3일 순직 경찰관에 대한 정부 차원의 첫 추도식에 대해 “그분들도 시대의 희생자”라고 밝혔다. 이남우(당시 법학과 4학년) 동지회 대표는 “아직 진상 규명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체적인 진실이 먼저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창수 기자

2013-05-04 23면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504023010

これはこれで、東義大事件をめぐる「その後」の事態が一歩進んだ、と言えることなのですが、いっぽうで「解決」や「和解」から程遠いところにあるのが現実でもあります。

キーワードは「半分の名誉回復」でしょう。それについてはまた改め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