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年の最新火葬率発表直前、関連記事を漁る。

昨日、済州市の東部公設公園墓地の記事を書いた関連で、そろそろ発表されるはずの最新火葬率についてチェックしてみたんですが、まだ出てないみたいですね。例年だいたいこの時期なのですが、今月下旬にでも発表されるでしょう。

blue-black-osaka.hatenablog.com
blue-black-osaka.hatenablog.com
blue-black-osaka.hatenablog.com

それはまた出たらチェックするとして、その前夜祭として最近の関連記事をクリップ。

まずは済州の地方紙・漢拏日報。そのものズバリで済州の火葬率に焦点をあてた記事が出ています。火葬率・改葬・法律改正など、目配りの行き届いた参考になる記事です。

전국 최하위 제주 화장률 올해 70% 육박?
올 8월말까지 65.5%… 벌초문화도 변모 조짐
2011년 54.8%에서 10%p 이상 ↑70% 근접
화장문화 확산 속 가족유형변화 등 영향 기인
조상윤 기자 입력 : 2017. 10.07. 13:30:49

f:id:bluetears_osaka:20170916104653j:plain
전국에서 가장 낮은 제주지역 화장률이 70%에 육박하고 있다. 화장률이 높아지는 것은 유별한 제주지역의 벌초문화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사진은 기사 중 특정사실과 관계없음. 한라일보 DB

전국 최하위인 제주지역 화장률이 올해 70%에 육박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7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 8월말 현재 제주의 화장률은 65.5%로 지난해 연말 65.3%보다 0.2%p 증가했다. 하지만 2015년 기준으로 전국 최고 화장률을 보이고 있는 부산(90.9%)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으로 전국 화장률은 평균 80.8%를 기록했다. 시도별로는 부산이 90.9%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인천 90.2%, 울산 88.1%, 경남 87.1% 등 6개 시도(부산, 인천, 울산, 경남, 서울, 경기)가 전국 평균보다 높게 화장했다. 제주도는 64.2%로 가장 낮았다. 충남 65.6%, 전남 67.6%, 충북 68.3% 등의 순으로 낮은 화장률을 보였다.

그러나 제주도의 화장문화도 점차 개선되면서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1년 54.8%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매장률을 앞선 이후 2012년 57.4%, 2013년 59.9%에 이어 2014년 60대를 올라서며63.5%를 기록했다. 2015년 64.2%에 이르렀다. 그리고 올 8월말 현재 65.5%의 화장율을 보이고 있다. 올해의 경우 1일 화장건수는 32.4건이었다.

시신화장은 2010년 1478건이던 것이 2011년 1643건, 2012년 1873건으로 늘었다. 2013년 2014건으로 2000건을 넘어선 뒤 2014년 2099건, 2015년 2155건, 2016년 2365건에 이르렀다. 올 8월까지도 1723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분묘를 열어 유해를 화장하는 개장 건수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2007년 2806구에 불과했으나 윤달이 있던 2009년에는 9354건으로 급증했다.이후 2011년 4413구, 2012년 6111구, 2014년 6085구, 2016년 5514구였다. 올들어서도 6167건에 이르렀다.'신들이 사람들을 감시하지 않아 불경한 행동을 해도 괜찮다'는 윤달의 속설 때문이다. 윤달이 없는 해에도 최저 3400구에서 최고 6000구가 넘는 개장 유골이 화장됐다.

특히 화장률이 높아지는 것은 유별한 제주지역의 벌초문화가 서서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더욱이 가족묘를 정리해 자녀들에게 벌초에 대한 부담을 넘기지 않으려는 부모 세대가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를 거듭할수록 가족과 문중을 중심으로 벌초와 더불어 화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전국적으로 화장률은 2005년 52.6%로 매장 비율을 넘어선 이후 2015년 선진국 수준인 80%대에 도달했다.

화장률이 증가한 것은 화장문화의 확산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화장 문화가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2001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부터였다. '시한부 매장 제도(일정 기간이 지나면 분묘를 개장한 후 화장 또는 봉안하도록 한 것)'를 계기로, 매장 문화의 기반이 흔들렸다. 당시 정부는 묘지 대란을 막기 위해 시한부 매장 제도를 도입했다. 2001년 이후 들어서는 신규 묘지의 기본 설치 기간을 15년으로 정하고, 이 기간이 지나면 유골을 꺼내 화장하도록 한 것이다. 다만 기본 설치 기간이 끝나더라도 15년씩 3차례 '연장 신청'이 가능했다. 현재는 법이 개정돼 묘지의 기본 설치 기간은 30년이다. 설치 기간이 끝난 묘지는 1회에 한해 그 설치 기간을 30년 연장할 수 있고 이후엔 개정 전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화장해야 한다.

더불어 화장률의 증가는 가족의 유형 변화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1995년만 하더라도 12.7%에 불과했던 1인 가구는 매년 급격히 늘어나면서 30% 진입을 눈앞에 두게 됐다. 반면 1995년부터 2005년까지 가장 주된 유형이었던 4인 가구의 비율은 매년 하락해 18.3%로 떨어졌다. 묘지는 보통 가족 친지 등이 함께 매년 찾아가 벌초를 해야 하는 등 손이 많이 간다. 따라서 1인 가구로의 가족 유형 변화는 벌초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묘지 관리가 힘들어지는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https://www.ihalla.com/read.php3?aid=1507350649576848073

こうした動向は昨日今日に始まったことではなく、また全国規模で進行しているものですが、今また改めて注目されているようです。

偶然かもしれませんが、以下の2本の記事はいずれも経済紙に掲載されています。

“자식에게 짐 된다” 무덤 없애는 부모들
기사입력 2017-09-29 11:04 |강문규 기자

작년 ‘개묘 화장’ 5만9711건 달해
“관리하기 힘들어”…윤달에 급증
사망시 82% 화장…장묘문화 급변

서울에 사는 강모(65ㆍ여) 씨는 이번 추석연휴 처음으로 성묘를 하지 않는다. 부모님 묘가 없기 때문이다. 강씨는 지난 3월 아버지가 돌아가셨을때 포크레인을 불러 30여년 전 돌아가신 어머니의 무덤을 팠다. 아버지와 함께 화장해 납골당에 모시기 위해였다. 강 씨는 “그동안 벌초 등 어머니의 무덤 관리를 두고 여러차례 고성이 오간 적이 있다”면서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형제들이 개묘해 화장하기로 함께 합의를 했다. 이어 “부모님의 묘가 없어서 서운하기는 하지만 관리하기 힘든 묘가 2개나 되는 건 더 분란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나도 부모님 묘를 관리하기 힘든데 우리 자식은 어떻겠나? 자식들에게 특히 짐이 되어선 안된다”고 말했다. 시부모님 무덤은 이미 10년전 개묘해 화장을 해서 모두 서울 근교에 모셨다.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는 묘지를 정기적으로 관리해야 하거나 명절마다 먼 지역 선산에 찾아와야하는 경우, 짐을 자식에게 지우기 싫다며 자연장이나 화장을 유언으로 남기는 부모가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관리가 어려운 묘지를 없애 후손들의 수고를 덜어주려는 것으로, 강씨처럼 아예 부모님 매장 묘를 파헤치고 다시 화장을 하는 ‘개장 유골 화장’을 하는 경우도 많다.

29일 보건복지부 장사정보시스템 e하늘에 따르면 개장 유골 화장 건수는 2014년 7만71건, 2015년 4만799건, 지난해 5만9711건에 달했다. 올해 들어서는 개장 유골 화장은 윤달(양력 6월 24일~7월 22일) 직전인 5월까지 2만430건을 기록했다. 윤달이 존재했던 2014년(양력 10월 24일~11월 21)에는 개장 화장을 하는 경우가 10ㆍ11월 두달 동안 3만4691건이나 됐다.

한 공원묘지 관계자는 “분묘를 없애고 납골당이나 자연장으로 바꾸는 사람들이 예전에 비해 많이 늘었다”면서 “최근에는 개장을 더욱 많이 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서울 목동에 거주하는 김성민(47) 씨 어머니도 “나 세상 뜨면 돌아가신 아버지랑 같이 화장해서 뿌려달라”는 말을 자주 하신다. 김 씨는 추석을 앞둔 지난 주말 어머니를 모시고 충청남도 목천에 위치한 선친 묘에 성묘를 다녀왔는데 오르막에 있어 좀 힘들어 하자 ‘(내가 죽으면) 괜히 무덤을 만들어 찾아오느라 고생하지 말라’고 하셨다”고 말했다. 김씨는 “그때마다 그런 말씀 말라고 하지만 착잡하기도 하다”면서 “우리 세대야 당연히 부모님 묘를 관리하고 성묘하는 거라고 생각하지만, 자식 대에서는 그렇지 않을 거 아니냐고 걱정하시는데 부인하기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화장은 이제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장묘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자식에게 짐이 될까봐, 혹은 관리하기 쉽다는 이유로 화장하는 경우가 지난해 사망자 5명 중 4명에 달한다.

보건복지부 장사정보시스템 e하늘 통계에 따르면 2016년도 전국 화장률(잠정치)은 82.3%나 됐다. 1994년 화장 비율이 처음 20%를 넘어선 후 22년만에 4배가 됐다. 우리나라 화장률은 2005년 52.6%로 매장률을 넘어선 이후에 2011년 70%를 돌파했다. 2012년 74%, 2013년 76.9%, 2014년 79.2% 등으로 꾸준히 올랐으며 2015년에는 80.8%로 최종 집계됐다.

강문규·유오상 기자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70929000313

커버스토리 제 1140호 (2017년 09월 27일)
대세로 자리매김한 ‘화장’ 문화 …‘묘지강산’ 우려 사라지다
[커버스토리 : 화장 문화 확산]
2001년 시한부 매장제 도입 후 10명 중 8명 ‘매장’아닌 ‘화장’선택

f:id:bluetears_osaka:20170925101636j:plain

[한경비즈니스=김정우 기자] 추석을 맞아 고향을 찾는 이들이라면 고속도로 옆 언덕배기 곳곳에 자리한 묘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간혹 어떻게 저런 곳에 묘가 들어섰을까 싶을 정도로 가파른 산 중턱 위에 자리한 묘지도 눈에 들어온다.

대한민국은 이미 오래전부터 ‘묘지 포화’ 상태다. 명당자리를 골라 조상을 모시는 것은 ‘효도’를 중요시하는 한국에서 자식이라면 반드시 해야 할 도리로 여겨졌다. 조상의 묏자리가 좋지 않아 하고자 하는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고 믿는가 하면 묘를 정성껏 돌보지 않으면 불효자로 손가락질 받기도 했다.

이처럼 오랜 세월 동안 정성스럽게 돌아가신 조상들을 모셔온 한국에서 묘지가 차지하는 면적은 어마어마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주거 면적은 약 2646㎢로 전체 국토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2.7%다.

그런데 묘지가 차지하는 면적은 약 1000㎢로 전체 국토 면적의 약 1.0%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죽은 자가 차지하고 있는 땅의 넓이가 결코 작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한부 매장제 도입 후 화장 확산

다행인 것은 묘지가 차지하는 면적이 최근 들어 예전만큼 크게 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1990년대만 하더라도 매년 9㎢의 땅에 새롭게 비석이 세워졌고 이대로 가다간 한국이 ‘금수강산’이 아닌 ‘묘지강산’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일었다.

하지만 현재 정확한 통계 수치는 나와 있지 않지만 묘지 면적의 증가는 미미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매장을 중심으로 하던 장례 문화가 급속히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1994년 20.5%로 20%를 겨우 넘었던 화장률은 2001년 38.5%를 기록한 뒤 매년 꾸준히 늘었다.

f:id:bluetears_osaka:20170925101716j:plain

화장률은 2005년 52.6%로 매장 비율을 넘어선 이후 2015년에 선진국 수준인 80%대에 도달했다. 장례 문화의 패러다임이 매장에서 화장으로 완벽하게 전환된 셈이다. 지난해 화장률은 올해 10월 말 정도에 발표될 예정인데 대략 83%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처럼 화장률이 증가한 것은 정부의 노력과 함께 국민의 인식 변화가 주된 요인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1990년대 후반부터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화장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 왔다.

화장 문화가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2001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부터였다. 당시 ‘시한부 매장 제도(일정 기간이 지나면 분묘를 개장한 후 화장 또는 봉안하도록 한 것)’를 계기로, 매장 문화의 기반이 뿌리째 흔들리기 시작했다.

당시 정부는 묘지 대란을 막기 위해 시한부 매장 제도를 도입했다. 2001년 이후 들어서는 신규 묘지의 기본 설치 기간을 15년으로 못 박고 이 기간이 지나면 유골을 꺼내 화장하도록 한 것이다.

다만 기본 설치 기간이 끝나더라도 15년씩 3차례 ‘연장 신청’이 가능했다. 현재는 법이 개정돼 묘지의 기본 설치 기간은 30년이다. 설치 기간이 끝난 묘지는 1회에 한해 그 설치 기간을 30년 연장할 수 있고 이후엔 개정 전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화장해야 한다.

이 같은 제도가 시행되면서 매장 대신 화장을 선택하는 이들이 급격하게 늘기 시작했다. 어차피 추후에 유골을 꺼내 화장해야 하니 애초부터 비용과 발품을 들여 가며 묏자리를 찾고 비석을 세우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된 것이다.

◆1인 가구 증가로 매장·벌초 어려워져

가치관의 변화와 경제적인 요인도 화장 문화가 확산되는 데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우선 최근 들어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를 위한 의미 있는 죽음, 이른바 ‘웰다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웰다잉은 인간의 존엄을 지키며 남겨진 이들에게 죄책감을 안겨주지 않고 편안하게 숨을 거두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만들어진 용어다. 웰다잉이 확산되면서 사람들이 ‘소유’에 대한 집착을 버리게 되고 죽은 후 묻혀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사라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경제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한국에선 장례비용에만 큰 금액이 들어간다.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의 평균 장례비용은 약 1200만원이다. 여기에 묘지를 마련하고 묘비를 설치하면 유가족들에겐 더욱 부담이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2000만원의 비용이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즉, 매장을 선택하면 장례식 한 번 치르는데 대략 3000만원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셈이다.

화장을 하게 되면 화장 후 어떤 방식으로 유골을 안치하느냐에 따라 가격 차이는 있지만 보통 매장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장례를 마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은 화장률의 증가가 가족의 유형 변화와도 연관이 있다고 말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인구주택 총조사 전수 집계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일반 가구(1936만8000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7.9%에 달해 가장 보편적인 가구 유형으로 나타났다.

f:id:bluetears_osaka:20170925101745j:plain

1995년만 하더라도 12.7%에 불과했던 1인 가구는 매년 급격히 늘며 30% 진입을 목전에 두게 됐다. 반면 1995년부터 2005년까지 가장 주된 유형이었던 4인 가구의 비율은 매년 하락해 18.3%로 떨어졌다.

묘지는 보통 가족이 함께 정기적으로 꾸준히 찾아가 벌초를 해야 하는 등 손이 많이 간다. 이런 맥락에서 1인 가구로의 가족 유형 변화는 화장률과도 충분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진단이다.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popup=0&nid=01&c1=1001&nkey=2017092501140000121&mode=sub_view

最後の「韓国経済」の記事は、『韓経ビジネス』(2017年09月27日 第1140号)の特集「相助事業の全て(상조산업의 모든 것)」のカバーストーリの一つのようです。他にも興味深い見出しの記事が並んでいるので、後でゆっくり読むことにします。

f:id:bluetears_osaka:20170925094143j:pl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