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年版ハンギョレ新聞」の共同墓地の記事

これ自体は3.1運動100周年に事寄せた企画みたいですけど。

f:id:bluetears_osaka:20190102235420p:plain

個人的にこの記事がタイムリーでヒットだったので、備忘のためにクリップ。

[1919 한겨레]선산에 조상도 못 묻다니
등록 :2019-01-02 12:05수정 :2019-01-02 16:06

어딜 가나 원성이다

f:id:bluetears_osaka:20190102235559j:plain
1920년대 용산 신시가지 전경. 원래 무덤으로 뒤덮인 황무지였으나 일본군이 신시가지로 개발했다. 사진 <윤치호 일기>(역사비평사).

조선총독부가 ‘묘지령’을 시행하여 조선반도에 공동묘지 제도를 도입한 지 7년이 흘렀으나, 여전히 조선 사람들에게 가장 큰 불편과 불만을 자아내는 것은 바로 이 공동묘지겠다. 조선총독부가 묘지령을 도입할 때 그 일차적 이유는 ‘근대적 공중위생’을 구현한다는 것이었으나 이는 우리 민족이 지난 오백년간 지켜온 관행과 전혀 불일치하는 것임이 자명하다.

“일본인들이 강요하는 공동묘지 제도는 우리 조선인의 민도에 적합하지 않은 악제다.” “공동묘지 제도를 폐지하기 바란다. 또는 단독 묘지를 허용해야 한다.” “묘지에 관한 관습상 공동묘지에 매장하는 것은 참지 못할 일일 것이다.” 가산의 많고 적음을 떠나 조선 사람이라면 조상의 묘지 쓰는 일을 두고 다 같은 불평을 토해내고 있다. 요사이 회색분자로 변심한 듯한 윤치호(54)씨 같은 이야 묘지령에 따라 무덤들을 정리하고 신작로로 개발된 용산의 경우를 두고 “일본인들이 섬뜩하기만 했던 지역을 아름다운 읍내로 변모시킨 건 엄연한 현실”이라고 상찬한다지만, 식민통치에 비교적 협조적이던 귀족들마저 묘지령을 두고 입을 삐죽거리는 게 사실이다.

조선총독부가 만든 공동묘지
유산자 ‘좋은 곳 못 모셔 불효’
무산자는 ‘돈 들여 무덤’ 불평

근래에는 신분제도라는 것이 붕괴되었으나 유서 깊은 가문에서는 여전히 백정, 천민들과 함께 부모의 묘지를 쓴다는 것을 수치와 불효로 받아들이고 있다. 만인이 평등한 묏자리를 쓴다니 무산자들에겐 환영받을 일 같지만 장돌뱅이들이라고 불만이 없지 않다. 일제가 10년 전에 작성한 ‘토지조사참고서’에서도 주지하였듯 “(조선의) 빈민들은 보통 그 지방에 있는 공동묘지 내에 비교적 좋은 위치라고 본 장소를 골라서 거기에 시체를 매장”하고 이런 ‘무주공산’은 인가가 모인 도시나 촌락에 한두군데씩 있어 사실상 무료로 이용한 터이다. 이제 와 돈을 주고 공동묘지에 입주해야 하는 처지가 되니 인심이 크게 흔들리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조선의 오랜 유풍을 거스르는 제도를 놓고 민심이 이처럼 들끓는데도 일본 정부는 그 역풍을 짐작조차 못 하는 듯하다. 경무총감부에서는 “다소 불만을 표하는 사람이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만약 양반·자산가 등에게 개개의 묘지를 허가할 때에는 동일한 출원이 속출해서 취급상 한층 번잡을 초래하여 불평가에게 빈틈을 보일 수 있다”며 반발을 일축했다.

f:id:bluetears_osaka:20190102235701j:plain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76672.html

このへんも、参考までに。

기록의발견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