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大学校正門前の再開発

高麗大学校周辺と言えば、「庶民的な地域」とも言えますし、「開発からは取り残された地域」とも言えます。間違っても富裕層が集まるようなところではないのは確かです。

特に正門前のエリアは、町工場や古い住宅、昔ながらの下宿屋などが密集しているところ。そこの再開発が今、進められようとしているようです。




고려대 앞 ‘막걸리촌’ 사라진다
이서화 기자
입력 : 2011-04-21 22:33:22ㅣ수정 : 2011-04-21 22:33:24
ㆍ서울시, ‘제기5구역’ 정비계획안 마련
ㆍ아파트·기숙사 공존 ‘캠퍼스타운’ 개발

고려대 앞 막걸리촌이 아파트와 기숙사가 공존하는 ‘캠퍼스타운’(조감도)으로 바뀐다.

서울시는 21일 고려대 앞인 동대문구 제기동 136번지 일대(제기5구역)에 아파트 단지와 함께 대학촌이 공존하는 새로운 개념의 정비 계획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제기 5구역은 지난 수년간 개발을 둘러싸고 지역주민과 학교·학생 간의 갈등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이곳에는 최고 높이 86m로 9~27층짜리 아파트 10개동에 총 831가구가 입주하게 된다. 부분임대아파트 47가구·도시형생활주택 46개구가 별도로 지어진다. 또 구역 내에 마련된 4629㎡의 기숙사 부지는 고려대가 매입해 기숙사를 건립한다. 기숙사는 6층 286실 총 635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논란이 많았던 학생주거대책과 관련해 시는 기숙사·부분임대아파트·도시형생활주택을 합쳐 900명 정도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기동은 저가 하숙이 밀집해 있던 곳이다. 그동안 학교와 학생 쪽에서 학생들의 주거권을 이유로 재개발을 반대해 왔다.

또 고층 아파트 단지가 들어섬에 따라 통경축(通經軸·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열린 공간) 30m를 확보하는 것도 대안으로 제시됐다. 이와 함께 근린광장(2552㎡)에 서점 등의 학생편의시설과 상권을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구역 중앙에 어린이공원을 만들고 개운산, 고려대 중앙광장, 근린광장, 어린이공원, 정릉천으로 이어지는 녹지축을 긋는다. 노후주거공간으로 낙후 이미지가 강했던 제기5구역이 환경친화적 주거단지로 탈바꿈시키기 위해서다.

서울시 임계호 주거정비기획관은 “캠퍼스타운 조성으로 노후 구역의 주거정비는 물론 학생들의 하숙 문제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며 “다른 대학가 주변 정비예정구역에도 이번 계획안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유지영 고려대 부총학생회장(23)은 “ ‘막걸리촌’은 고려대의 역사를 함께해 온 곳”이라며 “학생들은 학생주거권과 영세상인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아파트 재개발에 대해 반대한다”고 말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4212233225&code=950201

この手の話では当然のことながら、それぞれの立場からの賛否両論が出ていますね。

시장터 같은 대학촌의 환골탈태
[fn사설]
기사입력2011-04-22 17:21 기사수정 2011-04-22 17:21

재개발이 긴요한 서울 도심 구역은 많다. 고궁의 위엄과 미관을 해치는 주변의 무질서한 건축물이나 고층 빌딩 주변에 붙어 있는 낡은 가옥들이 모두 재개발 대상이다. 특히 술집과 옷가게가 밀집한 대학촌은 목불인견이 된 지 오래다. 서울시가 제기동 일대 고려대 주변의 막걸리촌을 캠퍼스타운으로 재개발하겠다는 계획은 그래서 큰 환영을 받는다. 이를 계기로 지성의 냄새를 전혀 풍기지 않는 오늘의 대학촌이 환골탈태했으면 좋겠다.

어디 고대 주변뿐인가. 연세대 이화여대 서강대 홍익대 등이 자리잡은 신촌 일대를 보라. 좁은 골목길에 온통 먹고 마시는 술집 음식점 카페 등만 들어찼고 여대 주변엔 옷가게만 빽빽하다. 이 곳이 공부하고 연구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인가 아니면 시장터인가. 고시촌과 원룸이 옹기종기 들어앉은 서울대 주변의 신림동이나 다른 대학촌도 별로 나은 게 없다. 서울시 관계자는 고려대 주변이 끝나면 한양대 숙명여대 한성대 등에도 캠퍼스타운 방식의 재개발을 할 계획이다. 잘 하는 일이다. 전 대학가로 확산시켜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번 고려대 주변 캠퍼스타운이 모범을 보여야 한다. 재개발에 합의하기까지 시 당국과 주민들 그리고 학생회 측은 6, 7년 동안 밀고 당기기를 거듭해 왔다. 결국 주민들이 원하는 아파트와 상가, 학생들이 원하는 하숙집(기숙사)과 서점 등 편의시설 그리고 시가 바라는 문화시설과 근린공원 등이 골고루 들어서게 됐다. 일단 술집과 옷가게가 줄어든 것만 해도 큰 성과다.

외국 대학촌의 품격을 보며 한국 대학촌의 저품격을 한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수백년의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고 넒은 바운더리를 자랑하는 곳과 그렇지 못한 곳은 비교하는 게 무리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이제 한국도 먹고 살게 됐으면 품격을 따질 때가 됐다. 가난 때문에 못했던 일을 지금은 할 수 있다. 국격 향상만 화두로 삼지말고 대학촌도 격을 생각할 때가 됐다. 사람은 때로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 한국의 지성들이 너무 구질구질한 환경에 지배되지 않기를 바란다.

http://www.fnnews.com/view?ra=Sent1801m_View&corp=fnnews&arcid=0922289688&cDateYear=2011&cDateMonth=04&cDateDay=22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 놓고 ‘찬반 싸움’

주민 40% ‘재개발 반대’…25%이상 반대땐 무산
조합설립 추진위 “지역발전엔 세입자 등 희생 필요”

박태우 기자 김명진 기자


» 고려대 캠퍼스타운 조성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제기5구역에 9일 오후 재개발계획에 반대하는 상인들의 총회공고 벽보가 붙어 있다. 김명진 기자

“재개발되면 다 죽는다니까.” “평당 1200만원은 받을 수 있어요.”

9일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고려대학교 정문 앞. 재개발로 삶의 터전을 빼앗길까봐 불안해하는 주민들의 한숨소리와, 재개발로 한몫 잡을 수 있다고 홍보하는 조합 설립 추진위원회 쪽의 ‘장밋빛 약속’이 엇갈리고 있었다. 서울시가 지난달 22일 아파트와 기숙사가 공존하는 ‘캠퍼스 타운’을 조성하겠다며 ‘제기5구역 도시정비 계획안’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6일부터 주민 공람이 시작되자, 제기동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고려대 정문 앞 골목길 ‘뚱땡이 식당’에는 이날 근처 술집·식당·복사집 주인 등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있었다. 이들은 모두 상가 세입자다. 제기5구역에 있는 100여개 점포 주인 가운데 90% 이상이 세입자로, 재개발이 되면 모두 이곳을 떠나야 한다. 고려대 정문 앞 상인회 대표를 맡은 권정수(36)씨는 “이곳에서 나가면 지금 가진 보증금으로 장사할 수 있는 곳도 없는데, 어디에 하소연할 방법이 없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동네 토박이로 조합원인 김아무개(49)씨도 “대부분 고령인 원룸 주인 등이 생계가 끊기게 된다”며 재개발 반대 의사를 밝혔다. 김씨는 “조합 설립 추진위원회가 잘못된 정보를 유포해 주민들을 현혹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조합 설립 추진위원회 쪽은 종일 조합원에게 전화를 돌리느라 바빴다. 한 직원은 “토지 감정평가를 받으면 평당 1200만~1600만원은 받을 수 있다”며 “곧 조합원 총회가 열리니 인감을 준비하라”고 안내했다. 조합 설립 추진위 조병옥 위원장은 “서울시가 계획을 발표한 만큼 이번엔 반드시 개발될 것”이라며 “지역이 발전하려면 원룸 주인이나 세입자들의 희생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도시정비 계획을 발표했지만 재개발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한 달 동안 공람을 거친 뒤 주민 75% 이상이 찬성해야 재개발 조합을 설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개발 반대 대책위원회 쪽은 “40% 가까운 재개발 반대 주민들의 인감을 모았다”며 “세입자, 학생들과 함께 조합 설립을 끝까지 막겠다”고 밝혔다. 반면 조합 설립 추진위 쪽은 “이해당사자인 조합원들만 신경쓰면 된다”며 “반대쪽 사람들도 찬성으로 돌아서고 있어 75%는 문제없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박태우 기자

기사등록 : 2011-05-09 오후 10:23:32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477139.html

캠퍼스 인근부지 재개발 ‘논쟁중’

고려대 등 재개발 둘러싸고 학생들 부담 가중
세종대, 지하캠퍼스 개발부지로 건물매입 세입자 반발

대학가 캠퍼스 인근 부지 개발이 논쟁 중이다. 지자체가 주도해 대학 주변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반발에 부딪힌 경우가 많다. 철거 대상 주민·상인들이 이해 관계자인 통상적 개발과 달리 대학과 학생들까지 얽혀 여러 목소리가 나오기 때문이다.

28일 고려대와 세종대 등에 따르면 대학 주변 재개발에는 이해 관계자들과 함께 학생들의 반대도 상당하다. 직접적 이해관계가 없는 대학생들이 나선 것은 주거난을 비롯한 생활상의 불편 탓이다. 재개발로 자취·하숙 등 보금자리가 줄어들거나 영세 상가가 사라짐에 따라 학생들의 부담이 커질 것을 우려하는 게다.

지난 2003년부터 정문 앞 제기 5구역 재개발 문제가 쟁점이 된 고려대는 최근 재개발안이 구체화됐다. 제기 5구역 재개발은 계속된 반대에 밀려 2009년 말 서울시 심의에서 보류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지난해 말 관련 소위원회에서 수정안 제시를 전제로 예정 수순을 밟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개발 문제가 쟁점으로 떠오른 고려대 정문 앞.

재개발안의 골자는 주택가와 영세 상권이 몰려있는 이 구역을 정비하는 것으로, 안이 통과되면 고층 아파트가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수정안 공개와 주민공람 절차 후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 안건으로 상정되면 심의를 거쳐 곧바로 재개발이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고려대 총학생회는 성명을 내 “정문 앞에 들어설 아파트는 고려대생들이나 원 주민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재개발이 시작되면 당장 정문 앞에 살고 있는 학생들부터 살 곳을 잃게 될 것”이라며 “주거 불안정 문제에 대해 지역 주민들과 함께 논의하는 가칭 ‘주거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신임 총장에게도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고려대 역사와 함께 했던 곳이 사라진다는 아쉬움도 크다고 전했다. 학생들은 “고려대 정문 앞은 졸업생들의 추억 뿐 아니라 독재정권 시절 대학생들이 민주화에 앞장섰던 역사적 공간이기도 한 만큼 이대로 사라지게 할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세종대도 지난해부터 정문 인근 상가 재개발 문제가 불거졌다. 세종대가 ‘비전 2020’을 선포하며 밝힌 지하캠퍼스 개발 부지로 건물을 매입하면서 세입자들이 반발하고 있다. 대규모 학생회관을 세우며 상가로 홍보해온 점과 맞물려 마찰을 빚은 케이스다.

세종대 학교법인 대양학원이 이전 건물주에게서 매입하는 과정을 세입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진행한 점이 문제가 됐다. 군자동 상가 세입자 대책위원회 도훈(53) 위원장은 “응당 세입자 의사를 물어봐 절차를 밟아야 하는데 세입자들은 건물이 팔린 것조차 몰랐다”며 “점포에 나왔는데 보증금만 받고 건물에서 나가란 내용 증명이 날아왔다”고 설명했다.

인근에 상권이 거의 형성돼 있지 않은 탓에 세종대생들도 덩달아 불편을 겪고 있다는 전언이다. 한 세종대생은 “평소 잘 가던 식당인데 없어질 위기라고 해 놀랐다. 이 근처에 식당가도 많이 없는데 생활하는 데 불편할 것 같다”고 말했다.

도 위원장은 “캠퍼스 개발에 건물이 포함됐다면 정당한 절차를 밟아 매입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학생 복지공간으로 활용할 거라던 학생회관이 사실상 상가로 탈바꿈한 것도 이번 매입을 염두에 둔 것 같다”고도 했다. 이어 그는 “상가 특성상 보증금 1천만 원 정도만 내고 월세를 많이 냈다. 보증금만 보상받고 거지 꼴로 내쫓기게 생겼다”며 울분을 토했다.

한국대학신문 기사등록 : 2011-02-02 15:30

http://media.campuslife.co.kr/news/Sub_View.asp?idx=18238&idx_SysSMA=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