ソウル大大学院の人権侵害の実態と、その先

下の記事で引用した「東亜日報」のコラムの続報というか、詳報とでも言うべきものが「朝鮮日報」日本語版に出ました。翻訳もしっかりしています。

大学院生とポスドクと奴隷扱い

記事入力 : 2012/10/21 08:55
ソウル大学大学院、横暴な教授たちの実態が明らかに

ソウル大大学院生1380人「私はこんなことまでされた」

 「研究に問題がなくても教授に嫌われれば、卒業できない。ある学生は9年間も卒業を認めてもらえなかった末、刃物を持って教授の部屋に押し掛けたという話もある」

 ソウル大学人権センターは10日、教授と大学院生の間で行われている慣習の悪影響について調査した結果を発表した。これまで、教授の横暴な行為を指摘した大学院生が個人的に証言するケースは多かったが、学校側を通じて公式に問題が提起されたのは今回が初めてだ。

 調査対象は同大の大学院生約1380人で、このうち約30人に対しては、個別に詳細な聞き取り調査が行われた。

 大学院生の41.6%は、教授が怠慢な授業を行い、学習・研究の権利を侵害されたと回答した。教授たちは、個人的な事情を理由に授業時間を変更し(26.8%)、業務を理由に大学院生を授業に出席させない場合もあった(18.4%)。教授が特定の授業の履修を強要したり、逆に履修を禁じたりするケースもあった(17.1%)。

 ある大学院生は「指導教授が、自分の嫌いな他の教授の授業の履修を禁じる。ニューライト(韓国での新しい右翼活動)系列の教授の授業を履修すると嫌われる」と話した。

 「教授や先輩の論文を代筆した」という回答も16%に上った。重要な学会誌に提出する論文だけを本人が執筆し、研究実績を埋めるための論文は、助教(教授の雑務を手伝う大学院生アルバイト、日本で言う「助教」とは異なる)たちに書かせるという。学生の論文の共同研究者として名前を載せる教授もいた。人権センターの関係者は「博士課程の学生が修士課程の学生に論文を代筆させるケースも多かった」と話した。

 大学院生に贈り物の提供を強要する教授も8.9%に上った。ある大学院生は「(論文の)審査費の名目で、指導教授に数百万ウォン(数十万円)の現金を、他の審査委員たちには数十万ウォン(数万円)ずつ商品券を贈った」と話した。

 教授たちの研究費流用問題も指摘された。大学院生のうち約10.5%が「教授から研究費流用の指示を受けた」としているが、工学部での研究費流用の指示が40件と最も多かった。

 ある大学院生は「プロジェクトやBK21(国家が推進した高等教育人材養成プログラム)事業などで、学生名義で支給される人件費は1000万ウォン(約70万円)以上だったが、このうち支給されたのは一部だけだった」と話した。

 教授が大学院生に不適切な個人的業務を行わせるケースもあった。ある大学院生は「海外出張に行った教授の留守宅に行き、犬に餌を与えた」と言った。「教授の息子の誕生日パーティーで風船を膨らませたり、教授の妻の航空券を予約したりしたこともあった」と話す学生もいた。

 大学院生たちの中は、行事に強制的に動員されたり(28.1%)、教授から暴言を受けたりするケース(18.9%)も多かった。ある大学院生は「先生が博士課程の学生だけを呼んで酒を飲んだ際、学生たちをひざまずかせて殴った。殴る対象は、主に博士論文の審査を目前にした学生など、教授に対して弱い立場の学生たちだった」と話した。

 教授から性的に見下すような発言をされたという大学院生も19.8%に上った。ある大学院生は「女は頭が良くないから、どんなに勉強しても立派な人にはなれない、と言われた。酒の席で教授が、女子の大学院生を抱き寄せて胸を触ったこともあった」と話した。

 チョン・ジンソン人権センター長は「大学院生にとって、指導教授との関係がうまくいかないのは人生を左右するほど重大なことなのに、指導教授に見放された場合、どこにも受け入れてもらえないなど不合理な点が多い。現在、個別の学部や学科との協議を通じ、学則改定も検討中だ」と話している。



ヤン・スンシク記者

http://www.chosunonline.com/site/data/html_dir/2012/10/21/2012102100077.html

こうした実態が大問題であることは論を俟たないわけですが、こういう実態の公表にこぎつけたこと自体については、評価に値すると思います。

ただし、それ以上のことまでをソウル大の人権センターという一部局に求めるのは、組織としていささか荷が重いようです。本当の問題は「この後、この実態公表がどういう環境改善につながるのか」なのですが、現時点では予断を許さない状況だというのが、各報道から垣間見えます。

서울대 대학원생 10명 중 1명 "교수가 '연구비 빼돌려라' 지시"인권실태조사서 드러나
조원일기자
입력시간 : 2012.10.11 02:35:55

서울대 대학원생 10명 중 1명은 지도교수로부터 연구비를 빼돌리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인권센터는 이 같은 내용의 '서울대 인권실태 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서울대가 대학원생과 학부생, 교직원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인권실태조사를 벌이기는 처음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학원생 32.5%가 과도한 업무량과 업무시간으로 공부, 연구 등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고 답하는 등 대학원생 인권침해가 특히 심했다. 교수의 사적인 업무처리를 지시받은 대학원생도 11.1%에 달했다. 교수에게 선물을 주거나 접대하도록 강요당하거나(8.9%), 교수가 논문을 가로채거나 대필시킨 경우(8.7%)도 적지 않았다. 특히 교수 개인을 위해 연구비를 유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답도 10.5%나 됐다.

성희롱도 심각한 수준이다. 교수의 39.1%, 교직원 25.7%, 대학원생 21.9%, 학부생 33.9%가 동료로부터 성희롱을 당하거나 음담패설을 들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학습ㆍ연구 ▦노동 ▦환경ㆍ건강 ▦폭력ㆍ차별 분야로 나눠 대학원생 1,352명, 학부생 1,040명, 전임교수 307명, 교직원 430명 등 3,12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인권침해 경험자 및 제보자 38명에 대한 심층면접으로 이뤄졌다.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210/h2012101102355521950.htm

”서울대 교수, 대학원생을 ‘개인비서’로”…인권 침해 실태
김한솔 기자

ㆍ서울대 인권센터, 대학원생 인권침해 실태 공개

서울대 대학원생 10명 중 1명은 ‘개인비서’처럼 교수의 사적인 일에 동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2명이 교수로부터 성적인 비하 발언을 듣는 등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 인권센터는 10일 ‘서울대의 인권, 어디에 있나’ 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내용의 대학원생 인권침해 실태를 공개했다. 교수가 대학원생의 ‘생살여탈권’을 쥐고 있는 구조적 문제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인권센터의 설문조사에 응한 서울대 대학원생 1352명 중 11.1%는 비서처럼 교수의 개인적인 업무 지시를 받았다고 답했다. 대학원생들은 “출장 간 교수의 빈집에 가서 개밥을 줬다” “교수가 이사할 때 이삿짐을 나르고, 교수 아들 생일파티 때 풍선을 불고, 교수 아내 비행기표도 예매해줬다” 등의 사례를 공개했다.

대학원생들에 대한 성희롱과 폭언, 욕설 등도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로부터 성적인 비하 발언을 들은 대학원생은 19.8%, 술자리 등에서 분위기 고조를 강요당했다는 대학원생은 19.2%나 됐다.

한 여성 대학원생은 “교수로부터 여자는 나이 들수록 가치가 떨어지니 일찍 결혼해야 한다, 여자는 머리가 안 좋아서 공부 많이 해도 훌륭한 사람이 못된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술자리에서 윗사람이 여성 대학원생을 끌어안으며 가슴을 만지는 일이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성차별과 성희롱 등의 피해는 여성 대학원생이 남성 대학원생보다 더 많이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가 주도하는 프로젝트 등 여러 업무를 처리하느라 자신의 공부나 연구를 제대로 못하고도 그에 상응하는 적절한 보수를 받지 못했다는 응답도 27.8%에 달했다. 한 대학원생은 “실험실에 하루 12시간은 있었는데 처음엔 장학금만 받고 월급이 없었다. 박사 과정 진학하고 생활비를 구할 길이 없어 얘기하자 월 40만원씩 받게 됐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다른 대학원생은 “프로젝트 비용과 장학금 등 학생 명의로 나오는 인건비가 1000만원 이상 되는데 일부만 학생에게 지급하는 교수도 있다”고 말했다.

교수가 논문을 대필시키거나 대학원생의 논문을 가로챘다는 응답도 8.7%였다. 이런 사례는 단과대별로 공대 19건, 자연대 15건, 사회대 13건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대학원생은 “중요한 학회지 논문은 교수가 직접 쓰지만 연구실적 채우기용 논문은 조교들에게 주제와 분량 등을 정해주고 대필시키기도 한다”고 밝혔다.

학생의 학위 논문을 교수 자신이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연구 업적으로 가져가려고 공동저자를 제의하거나, 학생이 논문으로 쓰고 싶어한 내용을 교수가 특허로 내겠다고 하는 경우도 있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0102151285&code=940202

[기자메모]대학원생 인권침해, 교수들에게만 미안한 서울대의 인권의식
김한솔 사회부 기자

“전반적인 실태조사도 아닌 상태에서 보도가 돼 어려운 여건 속에서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시는 교수님들께 심려를 끼쳐드리게 되었습니다. 신설 부속시설의 출범과 관련된 체계의 불비와 업무 미숙으로 발생된 것으로 이해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지난 10일 서울대 인권센터가 발표한 대학원생 인권침해 실태 보도가 나간 이틀 뒤 서울대 측에서 전 교수들에게 보낸 e메일의 일부다.

인권센터가 발표한 사례에는 출장 간 교수의 빈집에 가서 개밥을 주고, 성차별적 발언을 듣거나 성추행을 당하는 등 국내 최고 지성의 전당이라는 서울대 대학원생들이 겪을 것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고통들이 적나라하게 들어 있다. 인권침해뿐 아니라 논문대필과 같은 위법한 일이 있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그러나 학교 측이 교수들에게 보낸 e메일에는 “제기된 인권문제에 대해선 의미 있는 개선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는 한 줄 외에는 반성과 대응책 모색에 대한 얘기가 없다. 교수들에게 ‘누(?)를 끼친 것’에 대한 사과가 주를 이뤘다.

인권센터가 심포지엄을 열기 며칠 전 서울대 학생 커뮤니티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올라왔다. “서울대 인권센터의 설문조사 메일을 받은 것은 8월 말이었습니다. 전 이미 이 바닥에 더 있고 싶지 않기에, 친구는 이미 이 일로 이 바닥을 떴기에 직권조사와 조정신청을 넣었습니다. 어차피 지금 더 잃을 것도 없고….” 대학원학생회를 만들고, 인권침해 사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자는 내용의 이 글에는 1670개가 넘는 추천과, 7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지지한다’는 글이 대부분이었고, ‘불이익이 우려되니 하지 말라’는 걱정도 있었다.

그러나 학교 측은 교수들이 혹시 느꼈을지 모를 불편함에 대해선 앞장서 사과를 하면서 정작 학교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인 학생들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선 어떠한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 “왜곡된 표현이 있다고 생각되고 진상조사를 해봐야 한다”고만 하는 서울대의 태도에서 진지한 성찰의 기색은 찾아보기 어렵다. 서울대는 더 늦기 전에 학생들의 외침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0152142185&code=990105

인터넷엔 추가폭로… 교수들은 제보자 문의

‘서울대 조교 인권침해’ 후폭풍

대학원생들이 교수의 개인비서 노릇을 하는 등 인권침해가 심각하다는 내용이 보도된 후 서울대가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는 “더 심한 일도 많다.”는 조교들의 추가 폭로가 이어지고 있지만 정작 설문을 진행한 인권센터에는 “우리 조교가 설문에 응했느냐.” 등 교수들의 확인 문의가 폭주하고 있다.

지난 11일 서울대 교수들의 연구비 유용과 논문 대필, 제자 부리기 사례 등이 보도된 이후 서울대 인권센터와 학내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추가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 15일 서울대 온라인 커뮤니티인 ‘스누라이프’에는 “교수님 자제분 결혼식에 학생들이 총동원돼 주차장 배차관리를 했다. 축의금도 냈는데 밥도 제대로 못 먹었다. 이삿짐 나르는 건 기본이고, 연구비 횡령은 애교다.”라는 사연부터 “교수 어머니 집에 프린터랑 인터넷이 안 되면 대학원생 연구실로 전화가 온다. 그럼 가서 고쳐주고 온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추가 폭로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교수들은 익명 뒤에 숨은 학생들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권센터에는 제보자를 찾으려는 문의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변창구 서울대 교육부총장 겸 대학원장은 교수들에게 사과를 했다. 변 원장은 지난 12일 “전반적인 실태조사도 아닌 상태에서 보도돼 어려운 여건 속에서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시는 교수님들께 심려를 끼쳐 드리게 되었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대학원 교수들에게 전송했다. 그는 인권실태 조사보도에 대해 “인권센터가 신설된 부서라 체계가 없고 업무가 미숙해 발생한 문제로 이해해 주시면 좋겠다.”면서 “앞으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겠다.”라고 이해를 구했다.

하지만 이런 단체 사과 이메일에 대한 불만도 적지 않다. 학교가 잘못된 문화를 바꾸려는 비판을 덮으려고만 한다는 내용이다. 이메일을 받은 교수는 “우리 스스로 이 문제에 대해 깊은 반성을 하기보다 사태를 유야무야 넘기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명희진기자

2012-10-16 9면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1016009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