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京郷新聞」の国立墓地関係記事

最初に目についたのは、11月22日付の任実護国院の記事でしたが、検索してみるとそれ以前にも目につく記事があったので、まとめてクリップ。

私が訪れた時にはまたいくらか余裕のあった任実護国院の埋葬墓域もどうやら今年とうとう満場を迎えたようです。当時は改装中のまま放置されていた納骨堂が、今後は受け入れ施設になっていくわけですね。

任実護国院再訪

국립묘지, 더 이상 묻힐 곳이 없다
박용근 기자
입력 : 2012-11-22 21:53:02ㅣ수정 : 2012-11-22 21:53:02

ㆍ전북 임실호국원서 마지막 매장묘역 안장

국립묘지에 안장된다는 것은 가문의 영예다. 1954년 첫 국립묘지가 조성된 이후 마지막 국립묘지 매장묘역 안장이 22일 전북 임실호국원에서 이뤄졌다. 34만8000?(10만평)인 이곳 안장기수는 모두 2만2141기다. 이 가운데 매장묘는 1만6242기다. 1만6242번째 묘역 안장자는 참전용사인 충남 논산의 송모씨였다. 앞으로 임실호국원에서 6000여기 안장능력을 가진 납골당인 충령당에만 봉안이 가능하다.

임실군 강진면에 자리잡은 임실호국원은 한국 국립묘지 중 한 곳이다. 2002년 개원돼 재향군인회에서 관리하다 2006년 국립묘지로 승격되면서 국가보훈처 소속이 됐다.

국립묘지는 명당 중의 명당을 골라 조성된다. 임실호국원 입지 배경에는 ‘생거부안(生居扶安) 사후임실(死後任實)’이란 말이 있다. 생전에는 전북 부안이 살기가 가장 좋고, 죽어서는 임실에 묻혀야 한다는 의미다. 임실호국원에 들어서 묘역 맨 윗자리에 올라 보면 기막힌 광경이 들어온다. 정면으로 병풍처럼 둘러친 산이 운해에 휩싸여 있고 좌우에는 바람을 막아주는 야산이 포진해 있다.

이곳은 백두대간 남단인 전북 장수 영취산에서 서쪽으로 뻗어내린 금남정맥과 호남정맥 중간 지점이다. 쉽게 말해 마이산과 내장산의 중간쯤이라 할 수 있다. 호국원 정면에 보이는 산은 영산(靈山)으로 소문난 백련산(白蓮山)이다. 마치 흰 연꽃 모양과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곳이 바로 조선 8대 명당자리라는 곳이니 호국원의 풍수 또한 일품일 수밖에 없다. 국립묘지에 안장되는 것만으로도 영예인데 명당 풍수까지 갖췄으니 호국원에 묘를 쓴 이들은 명당운까지 누리는 셈이다.


22일 마지막 매장묘역 안장이 이뤄진 임실호국원은 명당 중의 명당으로 불린다. 멀리 보이는 산이 조선 8대 명당자리가 있다는 백련산이다. | 박용근 기자

▲ 1954년 서울현충원이 효시, 전국 8곳…‘명당 중의 명당’
매장 아닌 납골당만 가능… 산청 등 3곳 추가 조성 계획

■ 한국 국립묘지는 8개

국립묘지는 모두 8개에 이른다. 효시는 국립서울현충원이다. 흔히 동작동 국립묘지로 알려진 곳이다. 전후인 1954년 조성된 이곳은 한국전쟁과 여순사건 등에서 발생한 국군 전사자나 순직자들을 서울 장충사에 안치하면서 국립묘지의 출발이 됐다.

정부는 1950년 한국전쟁으로 전사자 수가 급속하게 늘어나자 육군묘지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1952년 5월 국방부 회의에서 국군묘지를 만들기로 결정하고 11개월간 답사를 거쳐 동작동이 최종 부지로 낙착됐다. 당시는 풍수지리를 따질 형편이 아니었다.

사실 서울현충원 자리는 내로라할 명당이다. 서울현충원에는 ‘창빈안씨 묘소’가 있다. 창빈안씨는 조선 11대 임금인 중종의 후궁이면서 선조의 할머니다. 원래 경기 양주에 있던 묘를 선조가 왕위에 오른 뒤 명당을 찾아 이 자리로 이장한 것이다.

한국전쟁 전사자가 많은 서울현충원은 8개 국립묘지 중 유일하게 국방부가 관리하고 있다. 나머지는 모두 국가보훈처가 관리한다.

국립대전현충원이 1985년 문을 열었고 이어 국립 4·19민주묘지(4·19혁명)와 5·18민주묘지(광주민주화운동), 3·15민주묘지(3·15마산의거)가 개장됐다.

호국원은 3개가 있다. 2000년 경북 영천호국원에 이어 2002년 임실호국원이 개원했고, 2007년에는 이천호국원이 문을 열었다.

■ 묘지 안장은 모두 끝나

서울현충원은 면적이 143만?(43만평)에 이른다. 7만5426기를 안장하는 이곳의 매장 여유는 이미 없어졌다. 배우자가 사망하면 합장만 가능하다. 대전현충원도 만장이 됐으나 넓은 부지를 활용해 추가로 묘역을 조성할 계획을 갖고 있다. 호국원은 매장이 가능한 임실호국원을 마지막으로 매장은 모두 종료됐다. 정부는 경남 산청과 충북 괴산, 제주에 호국원을 추가로 조성할 계획이지만 매장묘역이 아닌 납골당으로 만들어진다.

국립묘지에는 군인과 경찰, 항일애국지사, 민주투사 등이 묻히지만 예외도 있다. 베를린올림픽 영웅 손기정 옹과 동요작가 윤석중씨 등이 현충원에 안장돼 있다. 캐나다인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교수로 재직 중 기미독립운동이 일어나자 탑골공원에서 만세운동을 펼친 공로로 현충원에 묻혔다. 임실호국원에 안장된 원로가수 신카나리아씨와 도성아씨, ‘하숙생’ 작곡가 김호길씨 등도 문선대 활동을 인정받아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 국민 공원으로 자리잡은 국립묘지

지난 6월 임실호국원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 전국에서 초·중·고교생 500여명이 참석해 참전유공자 체험학습의 장이 마련된 것이다. 학생들은 한국전쟁에 대해 이해하고 호국영령들이 있었기에 현재 선진국 반열에 들어선 조국이 있음도 깨달았다. 학생들은 나라사랑 사생대회를 통해 애국심도 기른다. 묘역에 태극기 꽂기 행사를 펼치며 국가관을 고취하기도 한다.

2002년 개원된 임실호국원은 한 해 평균 3900여명의 학생들이 체험학습을 위해 찾는 명소가 됐다.

최기용 임실호국원장(53)은 “국립묘지가 엄숙하고 경건한 곳이지만 많은 국민과 학생들이 편하게 찾아 호국영령들에 대해 애도하고 국가관을 기르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면서 “참배객과 청소년들이 공원을 찾는 마음으로 추모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1222153025&code=950100

他方、こちらは、内容的には上の記事を一部かぶりますが、ソウル顕忠院を取り上げながら、国立墓地の歴史と概要をより総論的に解説しています。

국립묘지에 대해 얼마나 아십니까
홍진수 기자
입력 : 2012-08-17 21:39:37ㅣ수정 : 2012-08-17 22:28:42

ㆍ한국전 후 급히 조성 동작동 부지
ㆍ선조가 할머니 묘소 이장한 ‘명당’


서울시 동작구 현충로 210번지. 앞에는 한강이 흐르고 뒤로는 관악산 공작봉이 호위하듯 펼쳐져 있다. 이곳의 인터넷 홈페이지는 ‘산수의 기본이 유정(有情)하고 산세가 전후좌우에 펼쳐져 흐르는 듯하여 하나의 산봉우리, 한 방울의 물도 서로 조화를 이루지 않은 곳이 없으며 마치 목마른 코끼리가 물을 마시는 듯한 형상(渴形象)으로 그야말로 명당 중의 명당이라 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곳은 어디일까. 바로 국립서울현충원, 흔히 ‘동작동 국립묘지’라고 부르는 곳이다.

요즘은 공원처럼 여기는 사람들도 있지만, 서울현충원은 여전히 일반 국민들에게는 엄숙하고 어려운 장소다.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인들이 검은 옷을 입고 비장한 표정으로 참배를 하곤 하는 현충탑, 전쟁의 아픔을 여전히 간직한 채 비석을 어루만지는 유족, 충혼당(납골당) 등 무거운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다.

그러나 서울 현충원은 알고 보면 그리 무거운 곳만은 아니다. ‘호국공원’이란 또 다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시민들의 휴식처로도 활용도가 높다.


1948년 국군 전사·순직자 묘지로 출발한 국립서울현충원은 64년째 순국 선열들의 안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8·15 광복절 다음날인 16일 서울현충원 묘역에 까치들이 앉아 있다. | 강윤중 기자

■ 국립묘지의 시작

서울현충원은 국내에 조성된 8개 국립묘지 중 한 곳이다. 서울현충원과 동급인 대전현충원이 있고 민주화 운동 유공자 등이 잠들어 있는 경남 마산 3·15 묘지(1960년 3·15 마산의거), 서울 수유동 4·19묘지(1960년 4·19 민주혁명), 광주 5·18묘지(1980년 광주민주화운동)도 모두 국립묘지다. 경북 영천과 전북 임실, 경기 이천의 ‘호국원(군경 묘역)’은 2006년 1월30일부터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이 중에서 가장 먼저 생긴 곳은 서울현충원이다. 1948년 북한군과의 국지적 충돌, 여순사건 등에서 생긴 국군 전사·순직자들을 서울 장충사에 안치하기 시작한 것이 현충원의 시초가 됐다. 국립묘지 조성의 필요성이 급속하게 대두된 것은 역시 전쟁 때문이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한 뒤 전사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자 육군은 내부적으로 육군묘지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1952년 5월 국방부 국장급 회의에서 “육군만의 묘지보다는 국군묘지를 만드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의견이 채택됐다. 11개월간의 답사를 거쳐 1953년 9월 지금의 동작동이 최종 부지로 결정됐다.

묫자리를 결정할 때 따져보는 풍수지리는 당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른 기준이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5만명 이상이 묻힐 묘지가 들어서기 위해서는 ‘가급적 민가와 부락이 없는 곳’이어야 했고, 전방에서 너무 멀거나 가까워도 안됐다. 무엇보다 무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배수가 잘되는 지형이어야 했다.

그런데 이런 조건을 따져서 선택한 서울현충원 자리는 나중에 알고 보니 ‘명당 중의 명당’이었다. 서울현충원이 들어서기 한참 전부터 자리를 하고 있던 ‘창빈 안씨 묘소’가 이를 증명하고 있었다. 서울현충원 중턱에 있는 김대중 대통령 묘소에서 이승만 대통령 묘소 쪽으로 내려오다 보면 있는 창빈 안씨 묘소는 서울시 유형문화재 54호다. 후궁의 묘소지만 꽤 규모가 있고 봉분과 호석 등 형식도 모두 갖췄다. 창빈 안씨는 조선 11대 임금인 중종의 후궁이기도 하면서 조선 14대 왕 선조의 할머니이다. 원래 묘소는 경기 양주에 있었지만 선조가 왕위에 오른 뒤 명당을 찾아 현재의 자리로 이장했다.

당초 국군묘지로 출발한 서울현충원은 1965년 대통령령에 따라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이어 베트남전으로 안장묘역이 급격히 소진되면서 1979년 8월에는 지금의 대전현충원인 대전국립묘지도 만들어졌다. 1996년 국립묘지 대신 ‘현충원’이란 이름이 붙었고, 2006년 1월에는 국립묘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현재의 위상이 완성됐다.


조선 14대 임금 선조의 할머니 창빈 안씨 묘소. | 강윤중 기자

■ 국립묘지에는 누가 묻히나

국군묘지에서 출발했기에 군인과 경찰, 항일 애국지사 등이 가장 많다. 그러나 이종욱 전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베를린 올림픽 영웅인 마라토너 손기정옹, 동요작가 윤석중 선생 등 다른 형태로 국가에 공헌한 분들도 현충원에 모셔져 있다.

이러한 예우는 한국인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캐나다인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한국명 석호필), 중국 화교 장후이린(姜惠霖), 위쉬팡(魏�敍舫) 열사는 외국 국적이지만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스코필드 박사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연세대 의대의 전신) 교수로 재직 중 1919년 3·1 기미독립운동이 일어나자 탑골공원에서 함께 만세운동을 펼쳤다. 장후이린 열사와 위시팡 열사는 한국전쟁에 참전해 무공을 세웠다.

■ 국립묘지에 잠들 수 있는 기한은 60년

총면적이 143만?에 이르는 서울현충원의 매장 구역은 이미 만장 상태다. 납골당인 충혼당에는 아직 자리가 있지만 매장 구역은 더 이상 여유가 없다. 납골당이 아니면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부부 합장만 가능한 상태다. 대전현충원도 올해로 기존 묘역(6만6327기)은 만장이 된다. 다만 대전현충원은 일찌감치 서울현충원의 2배가 넘는 부지(322만?)를 확보해 올해 1만4000기, 2015년 1만7000기, 2019년 1만9000기 자리를 더 만들 예정이다. 이에 최종 만장은 2024년까지 연장됐다. 호국원도 현재 3곳 외에 경남 산청과 충북 괴산, 제주 노형동 등에 더 들어설 계획이라 걱정을 덜었다.

국립묘지 안장 기한은 60년이다. 60년이 지난 뒤에는 심의를 거쳐 영구 안장 또는 위패 봉안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유족들이 아직까지는 이장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안장 기간은 사망일부터 기산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 법이 만들어지기 전에 사망한 분들은 소급 대상이 아니다. 60년을 규정한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은 2006년 1월에 제정됐다. 최소 2066년까지는 강제 이장될 우려가 없다. 배우자와 합장하는 경우에는 합장일을 기준으로 다시 계산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안장 기한이 60년을 넘길 수도 있다.




서울 동작구 현충로 국립서울현충원은 도심 속에서는 좀처럼 보기 어려운 풍경을 계절마다 연출한다. 봄 전시행사, 가을 단풍, 겨울 설경(위쪽부터) 등 사계의 풍경을 2011년 국립현충원 사진 공모 입상작들이 담고 있다. | 국립현충원 제공

■ 국립묘지와 대통령

국립묘지에 안장된 한국의 전직 대통령은 4명이다. 이승만, 박정희,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는 서울현충원에, 최규하 전 대통령 묘소는 대전현충원에 있다. 윤보선 전 대통령은 고향인 충남 아산 선산에, 노무현 전 대통령은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안장됐다.

서울현충원의 대통령 묘역은 방문객들의 필수 참배 코스다. 현충원 최정상에 박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가 나란히 안장되어 있고 그 아래쪽에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승만 전 대통령 부부의 봉분이 차례로 있다. 서울현충원 관계자는 “왜 돌아가신 순서대로 배치되지 않았냐고 항의하는 분들도 있는데, 예정에 없이 당시 상황에 따라 조성된 묘역이라 순서는 큰 의미가 없다”며 “대전현충원에는 국가원수 묘역이 따로 조성되어 총 8분이 들어가실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 부부와 박 전 대통령 부부 봉분은 쌍분이다. 봉분이 별도로 조성되어 있다. 서울현충원 관계자는 “먼저 사망한 육 여사가 국가유공자 자격으로 묻혔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육 여사는 1974년 8월15일 광복절 기념식에서 총격으로 사망한 뒤 국가유공자로 선정돼 국립묘지행이 결정됐다. 이후 박 대통령이 사후에 전직 대통령 자격으로 국립묘지에 들어와 나란히 묻혔다.

반면 이 전 대통령의 부인인 프란체스카 여사는 전직 대통령의 배우자 자격으로 기존 이 전 대통령의 묘소에 합장됐다. 최근에는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이 사후 현충원에 안장될 가능성이 남아있어 논란이 되기도 했지만 지난 1일 개정 국립묘지법 시행으로 내란죄를 저지른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은 국가보훈처 주관 국립묘지안장심의위원회 심의대상에 올라갈 수 없게 돼 일단락이 된 듯하다. 하지만 안장 가능성이 완전히 차단된 것은 아니다. 국가장법에 따르면 전직 대통령이 사망하는 경우 유족 등 의견을 고려해 행정안전부 장관 제청으로 국무회의 심의를 마친 후 대통령이 결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장을 치를 수 있다. 국가장으로 장례된 사람은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있다.

■ 현충원 관리는 어떻게 하나

서울현충원 직원은 원장까지 포함해 76명에 불과하다. 전체 면적 143만?에 묘역만 56개인 서울현충원 전역을 관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서울 현충원 관계자는 “직원 1명당 1개 묘역씩을 할당해 업무시간 외에 관리를 맡기고 있다”며 “학생과 군인 등 자원봉사자에게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현충원을 방문하면 각 비석 옆 꽃병에 한결같이 무궁화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꽃들은 모두 ‘조화’다. 무연고 묘지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2005년부터 모든 비석 앞에 조화를 놓아두고 있다.

조화도 퇴색되기 때문에 매년 현충일과 추석을 앞두고 교체 작업을 한다. 서울현충원 관계자는 “전체 유해의 60%를 차지하는 한국전쟁 전사자 묘역을 찾는 유가족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며 “1인 1헌화 운동 등으로 이분들이 쓸쓸함을 느끼지 않도록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8172139375&code=940100

で、この記事に関連して、軍人や警察官に比べて消防署員や情報部職員の国立墓地への安葬基準が厳しすぎるという格差の存在を指摘した記事も出ています。

소방공무원 순직해도 국립묘지 안장 ‘좁은 문’… 국정원 직원은 사실상 불가능
홍진수 기자
입력 : 2012-08-17 21:38:49ㅣ수정 : 2012-08-17 21:38:49

국립묘지 안장자 중 직업별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람들은 군인과 경찰이다. 국립묘지가 애초에 ‘군인묘지’로 출발했고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 등을 겪으면서 대규모로 부상자, 사망자가 발생했다. 그러나 공익을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은 군인과 경찰뿐만이 아니다. 이 때문에 국립묘지의 안장 범위를 놓고 심심치 않게 논란이 발생한다. 특히 수시로 생명을 위협받는 화재현장으로 뛰어들어야 하는 소방공무원에게도 군인, 경찰과 동등한 대우를 해줘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를 규정한 국립묘지법 조항을 보면 군인은 20년 이상 복무하면 국립묘지에 묻힐 자격이 생긴다. 경찰도 공무수행 중 순직할 경우 안장 대상이 된다. 그러나 소방공무원은 ‘화재진압, 인명구조, 구급업무 수행 또는 실습훈련 중 순직’으로 안장 범위가 훨씬 좁다.

일례로 지난 7월 강원 속초시에서 고양이 구조작업을 하다 추락해 사망한 김종현 소방교는 직무수행 중 순직하고도 국립묘지로 가지 못했다. 국가보훈처는 김 소방교를 국가유공자로 인정했지만 국립묘지행만은 허락하지 않았다. 김 소방교처럼 공무수행 중 순직하고도 국립묘지에 묻히지 못한 소방관은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11명이다.

군인, 경찰과 마찬가지로 위험한 업무에 종사하는 국가정보원 직원들도 순직 후 국립묘지행이 불가능해 논란이 일고 있다. 현행법상 국가정보원 직원들도 국립묘지에 묻힐 자격은 있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무에 준하는 위험한 직무수행 중 사망하여 관계기관의 장이 순직공무원으로 안장을 요청한 사람’은 안장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국가정보원의 업무 특성상 직무수행 상황을 완전하게 공개할 수 없어 현실적으로 심의를 통과하기 어렵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8172138495&code=940100

で、最後に、かつて報恩郡が選定されながら投げ出していた中部圏(忠清道)の護国院の設置として、報恩郡と誘致合戦を繰り広げた忠清北道槐山郡が再選定されたという記事もありました。各地の護国院については、また改めて情報を整理したいと思います。

忠清圏の護国院建設、一転して混迷

중부권 호국원 충북 괴산에 조성
김영이 기자
입력 : 2012-06-27 22:17:30ㅣ수정 : 2012-06-27 22:19:31

중부권 호국원이 충북 괴산에 들어선다. 괴산군은 사업비 802억원을 들여 2016년까지 괴산에 호국원을 조성한다는 방침을 국가보훈처로부터 통보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앞서 보은군은 호국원을 유치하려 했으나 주민들이 반발로 지난 13일 보훈처에 유치권을 반납했다.

중부권 호국원은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산 83의 1 일대 90만2390?에 조성된다. 이곳에는 봉안시설 10만기, 현충탑, 현충관, 관리·휴게시설, 주차장 등이 건립될 예정이다. 순국선열, 애국지사, 전몰군경, 전상군경, 무공수훈자, 6·25참전유공자, 장기제대군인 등 국가유공자가 안장될 예정이다. 괴산군은 “사업 예정지는 대부분 임야이고 땅값이 싸 토지 매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는 점과 지역 주민이 호국원 유치에 발벗고 나서는 등 민원 발생 가능성이 적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말했다. 괴산군은 중부권 호국원 유치로 괴산 지역을 찾는 유동인구가 늘어 농·특산물 판매 등 농가소득이 늘고 관광산업이 활성화돼 지역경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www&artid=201206272217305&code=95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