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ということは、みんなわかってはいるんです。
記事入力 : 2011/08/27 08:06:16
地方大卒学生、就職の門戸広がる
「42公共機関、2年以内に採用比率30%まで増やす」韓国政府は、地方大学の卒業生など地元人材のため、公共機関の採用門戸を広げることを決めた。
政府は26日「公共機関の地元人材の採用拡大計画」を決定し、最近3年間の平均採用比率が30%未満だった42公共機関について、2013年上半期までにこの比率を30%以上に引き上げることにした。特に、この3年間で地元人材の採用率が30%近かった仁川国際空港公社や韓国奨学金財団、技術保証基金など13機関は、年内に目標を達成することにした。
来年上半期には韓国馬事会・信用保証基金・韓国住宅金融公社などの7機関が、下半期には仁川港湾公社・韓国資産管理公社など7機関が、13年上半期には韓国土地住宅公社(LH)・韓国取引所など15機関がそれぞれ目標率達成を目指す。
こうした公共機関のうち、韓国馬事会・韓国資産管理公社・韓国住宅金融公社などは30‐40%の地元人材の採用目標を果たすため採用割当制を実施、韓国奨学金財団・大韓貿易投資振興公社(KOTRA)などは、地元人材に5%の加算点を与える方式を採用することにした。また、支社勤務要員を採用する際は地域別に募集するほか、地方に移転する公共機関は移転先の地元人材を優先採用する方式を取るという。
企画財政部(省に相当)関係者は「地元人材の採用を適切に広げているかどうかを定期的にチェックし、経営実績評価に反映させるなど、地元人材の採用枠が拡大するよう誘導していく」と話している。
企画財政部によると、今年上半期の109の公営企業・準政府機関の地元人材採用率は51.3%に達しており、全般的な採用率は50%を超えているが、42公共機関が30%未満にとどまるなど、格差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とのことだ。
方顕哲(パン・ヒョンチョル)記者
でもこの話、中央政府と中央新聞の話だけを聞いていても埒が明きません。ここでは、済州と大田からの声を拾っておきましょう。
"내 직장 어디 없나요" 제주 대학생, 구인정보 '갈망'
일자리창출 전략회의...제주도 "10월 박람회 통해 150명 현장 채용"
데스크승인 2011.08.26 14:14:18 김성진 기자
제주지역 대학생들이 구인 정보를 갈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제주도가 취업시즌을 맞아 구인-구직 '미스매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6일 첨단과학기술단지에서 마련한 제3차 일자리창출 전략회의에서 대학생들은 취업정보와 전문취업교육에 대한 높은 욕구를 드러냈다.
▲ 26일 첨단과학기술단지에서 열린 제3차 일자리창출 전략회의.
제주한라대학에 다니는 백지연씨(관광경영학과)는 "청년 눈높이에 맞는 기업 구인정보 전문 사이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해외취업에 대한 제주도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제주관광대학 오상림씨(메카트로닉스학과)는 "인턴 경험이 취업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인턴정보를 많이 제공했으면 한다"고 희망했다.
▲ 우근민 지사가 일자리창출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제주대학교 김세창씨(경영정보)는 "제주는 지역특성상 직업 정보에 제약이 많다"면서 "대학과 제주도에서 실시하는 일자리박람회에 다른 지방 우량기업, 다양한 기업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제주산업정보대학 김성찬씨(토목과)는 제주유치 기업의 정규직 일자리 제공을 늘려달라고 요구했다. 본사를 제주를 옮기는 기업이 늘고 있으나 현지 채용이 비정규직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다.
김 씨는 아울러 2년제 대학 졸업생의 채용 확대를 요청했다.
제주대 강현진씨(행정학과)는 다양한 기업 요구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설하는데 제주도가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들이 토익이 아닌, 토익스피킹 또는 OPIC능력을 요구하는 경향이 짙다"면서 "제주에는 이러한 과정을 교육하는 학원이 없어 많은 학생이 다른지방으로 나가 교육을 받고있다"고 호소했다.
제주도는 이날 청년취업률 제고 방안으로 △일자리박람회를 통한 현장 채용 확대 △맞춤형 구인정보 제공 강화 △취업과 연계한 산-학 청년 인력양성 등을 약속했다.
일자리박람회는 10월28일 제주시 한라체육관에서 열기로 했다. 도내.외 기업 100곳을 참여시켜 150명을 현장에서 채용한다는 목표다. 지난해 행사에는 78개 기업이 참여해 82명을 채용했다.
또 맞춤형 구인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제주도 홈페이지에 '청년일자리 코너'를 개설하고, 9월부터 12월까지 △바이오 △국제호텔경영 △방송.문화콘텐츠 등 분야 인력 200여명을 양성하기 위해 추경에 예산을 확보했다.
올들어 제주도는 지난달까지 향토자원 5대성장산업, 첨단기술 4대 제조업 등 기업육성 연계형 일자리사업을 통해 1871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 올해 목표 3000개의 62.4%를 달성했다. <제주의소리>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03588
2011-08-27 15면기사
지방대 출신 채용 확대 기업도 동참해야
정부가 지방대 졸업생의 공공기관 취업 채용 비율 30% 이상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지역인재를 우대한다는 방침 아래 공기업·준정부기관에서 일정 비율 이상의 채용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실효성 여부는 일단 뒤로 미루더라도 지방인재 배려라는 측면에선 반길 일이다. 학벌로 사람을 평가하는 차별적 관행을 없애고 지역균형발전 성과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정부는 공기업·준정부기관 42곳의 지역 인재 채용 비율을 2013년 상반기까지 30%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최근 3년 지역인재 채용 비율이 30%에 근접한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13개 기관은 올 하반기에 목표 비율을 채우도록 주문했다. 여건이 안되는 토지주택공사 등 15개 기관은 내후년까지 30%에 도달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49개 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비율(평균 13.6%)이 낮았다며 확대를 요구했다.
지난해 상당수 기관이 지방대 출신 채용 가이드라인 30%을 달성했지만 지방대 출신들이 느끼는 취업 체감지수는 낮다. 해당 기관들이 전체 채용 규모를 늘리지 않는 이상 지방대 졸업자 일자리가 늘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외견상 지방대 졸업자의 취업률을 높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성과는 그다지 크지 않은 것이다.
대통령이 연초 특별연설에서 “특히 금년 대학 졸업생부터는 좋은 일자리 취업이 크게 늘 것”이라며 대학생 취업을 강조했다. 1월 정부는 공기업과 정부기관이 지방대 졸업생을 일정 비율 이상 채용하는 방안을 내놨다. 총리 주재로 열린 교육개혁협의회에서 지방대 취업률을 2013년까지 60%로 끌어올리기 위해 산학협력 선도대학 50곳을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5월에는 지방대 출신의 취업확대를 위한 공공 분야의 모집규모 확대와 대기업의 채용문화 개선 등을 발표했다.
지방대 졸업자의 취업난은 위기국면을 넘어섰다. 무엇보다 기업들의 지방대 출신 차별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대부분은 수도권 대학 출신을 우선적으로 뽑고 있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노력만으로 지방대 출신 대졸자 취업율을 높이는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얼마 전 영국 런던의 청년 폭동문제도 실업문제로 누적된 젊은 층의 불만과 분노 등이 폭발해 일어났다. 강 건너 남의 일로만 보이지 않는다. 1만명에 불과한 200여개의 공공기관의 일자리에 지방대생이 들어가봐야 몇명이나 들어가겠는가. 민간 부문의 배려와 노력 없이는 지방대 출신 취업환경이 개선될 리 없는 것이다.
지역인재 배려는 갈수록 벌어지는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를 해소하는 길도 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 못지 않게 수도권과 지방의 경제적 차이도 심각하고 취업전선에도 엄청난 갭이 존재하고 있다. 지방대생의 취업난은 궁극적으로 대학과 인재의 수도권 집중을 더욱 심화시켜 국가균형발전을 가로막는 결정적 악재가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967672
でも実際、肝心の企業の動きはというと、工場を地方に展開していても、研究開発機関を首都圏に集中させたりしています。そうなると単なる就職以外の面でも、地方大学の悩みは深まるばかりです。
'30년 추락 지방대' 더 이상 방치하면 교육·사회 위기 온다
김덕한 기자
유석재 기자
입력 : 2011.08.13 03:07[자본주의 4.0] [10] 지방대를 살리자
기업과 학교가 결합, 특성화된 교육으로 특색있는 인재 키워야
본사·R&D 수도권 집중… 지방 공동화 가속화시켜극한 경쟁으로 치달아온 '자본주의 3.0'시대는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의 양극화(兩極化)라는 또 다른 후유증을 키워가고 있다.
경제와 일자리가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 우수 학생의 지방대 기피→지방대 약세→지방 중간층 감소→지방 경제 부실화→수도권 집중 심화'의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1970년대만 하더라도 지방의 많은 우수 학생들은 자기 지역의 국립대로 몰렸다. 부산대 상대 합격자의 예비고사 평균 성적이 고려대 정경대나 연세대 영문과와 비슷했고, 충남대 사회계열의 성적은 이화여대 문학부나 연세대 중문과와 같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유수 지방 국립대들이 '수능 배치표'에서부터 서울의 중상위권 대학에 밀리는 상황이 됐다. 서울지역 대학생 27만명 중 과반수인 14만명이 지방 출신이다. 이제 '자본주의 4.0'시대에는 다시 지방 거점대(據點大)를 일으켜 지방의 인재와 지방의 중산층을 두텁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차명호 평택대 교육대학원장은 "단순히 지방대의 교육 수준을 높여서만 될 일이 아니라 지역 산업체와 학교가 결합해서 일자리와 인맥을 창출하고 각 대학이 특화된 교과 과정으로 특색 있는 인재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방대학은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연구·개발(R&D)기능에서부터 소외되고 있다.
충남 천안에 본사를 둔 전자부품업체 김모 사장은 "'용인 라인', '양재 라인'이라는 말이 있는데 연구·개발 직은 용인, 마케팅·기획직은 서울 양재동 아래로는 내려가려 하지 않는다는 얘기"라며 "지방에선 이렇게 직원 뽑기가 어려우니 우리 회사는 수도권에 가까운 천안에 있지만 할 수 없이 서울 테헤란로에 R&D센터를 열었다"고 말했다.
대기업도 마찬가지다. 포스코는 지난해 11월 인천 송도에 글로벌 연구·개발센터를 준공했다. 포스코는 경북 포항과 전남 광양에 제철소를 가지고 있고 포항에는 포스코가 설립한 포스텍(포항공대)에 석학들과 우수 인력이 즐비하지만 새 R&D시설은 수도권을 택한 것이다. 그렇게 한 이유 중 하나는 지방에서 좋은 연구 인력 구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수도권에 인구의 반이 몰려 있는 나라에서 수도권 중심으로 영업활동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지방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까지 공장만 덜렁 지방에 남기고 본사와 영업·마케팅 조직은 물론 R&D 기능까지 수도권으로 집중시키고 있다.
웅진코웨이는 충남 공주에 공장이 있지만 R&D센터는 2009년 서울 관악구 서울대 연구공원에 지었다. 충남 천안에 종합연구소를 가진 종근당도 지난 4월 경기도 용인에 2만7933㎡(8450평) 규모의 '효종연구소'를 새로 열었다.
이렇게 고급 인력들이 수도권으로 몰려드니 고액 연봉자의 수도권 쏠림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국세청 통계(2009년 기준)에 따르면 연봉 1억원 이상의 근로자 19만7000명 중 74%인 14만5780명이 수도권 직장에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 강남구가 지난해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 취업박람회에서 참석자들이 부스에 앉아 상담을 받고 있다. 서울지역 대학생들이 대기업에 입사하는 비율이 33.5%인 데 반해 부산·충남·강원·광주 등 지방 대학생들의 대기업 입사비율은 5~19%에 그친다. /오종찬 기자이처럼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기업과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리는 불균형이 커지면서 지방 경제와 지방 사회의 중심축이 돼야 할 지방 대학들의 기능이 약해지고 있다. 지방 고교생들도 모두 수도권으로 몰려들고 수도권 대학을 졸업한 후엔 다시 지방으로 내려가지 않으려고 한다. 경북대의 한 교수는 "선진국의 R&D캠퍼스는 지역별로 특화돼 발전하고 있는데 우리는 지방 거점 국립대들조차 지역 기업의 R&D 기능과 연계되지 못해 불임(不妊)의 대학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법조 인력을 양성하는 로스쿨(법학전문대학원)의 서울 집중현상도 심각하다. 지방 로스쿨에 합격하더라도 등록을 포기하거나 등록하더라도 서울에 있는 로스쿨에 다시 응시하는 '반수생(半修生)'이 늘고 있다. 지방에선 현직 법조인들을 만날 기회가 적고 졸업 후에도 변호사 활동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하기 때문이다.
지방의 한 IT 중소기업 대표는 "수십년간 기업을 운영해왔고 이제 은퇴할 나이가 다 됐지만 마지막 소원이 서울대 공대 출신 사원을 뽑아보는 것"이라며 "이런식으로 방치하면 교육, 사회 전반에 위기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 자본주의 4.0
자본주의 진화 과정을 컴퓨터 소프트웨어 버전(version)처럼 단계에 따라 숫자를 붙일 때, 자유방임의 고전자본주의(자본주의1.0),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케인스가 내세운 수정자본주의(2.0),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으면서 시장의 자율을 강조한 신자유주의(자유시장자본주의·3.0)에 이은 네 번째 단계의 자본주의를 뜻한다. 신자유주의는 사상 최대의 풍요를 가져 왔지만 심각한 빈익빈(貧益貧)부익부(富益富)와 수도권과 지방 격차 등 부작용을 초래했다. 자본주의 4.0 시대엔 기업(시장)의 경쟁력 강화와 이윤추구는 인정하되 고용과 나눔 등 사회적 책임은 물론 지역 균형 발전도 강조한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13/2011081300082.html
この流れをある程度押しとどめる政策が奏功するのか、あるいは行き着くところまで行った〈究極型〉を目にすることになるのか、今のところは何とも言えない段階でしょう。
선진국엔 '지방대'라는 말도 없어
김연주 기자
감혜림 기자
입력 : 2011.08.13 03:08지역따른 서열화 상상도 못해
베스트셀러 '연탄길'의 작가 이철환(49)씨는 강의실에 빈자리가 없는 인기강사였다. 그러나 수도권대 출신이 아니라는 멍에를 벗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해야 했다.
영어회화 강의 테이프를 녹음하다 제작사가 갑자기 "계약을 못 하겠다"고 해 녹음을 중단한 적도 있다. 나중에 알게 된 이유는 '학생들에게 인기 없는 대학 출신이기 때문'이었다. 이씨는 "'성적으로 우리를 판단하지 말라'는 학생들조차도 지방대 를 가기 싫어하고 지방대 출신을 낮춰보는 세상"이라고 말했다.
실력과는 상관없이 학교가 지방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전체 대학생 중 76%(105만4378명·2010년 4년제 기준)인 지방대생들이 차별과 불이익을 받고 있다. 진짜 실력은 수도권보다 앞서는 대학이 많다.
예컨대, 경북대와 부산대는 본지와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QS가 실시하는 '2011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서울 지역 주요 대학들을 제치고 각각 61위·66위에 올랐다. 그러나 입시생들이 참고하는 '대입 배치표'에선 아래쪽에 처져 있다.
부산의 한 여고 이모(55) 교사는 "뛰어난 학생들이 지방대라고 차별받는 걸 보면 너무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부당한 대우를 참지 못해 학교를 옮기려는 지방대생들도 많다. 부산 지역 국립대 3학년 김모(23)씨는 휴학하고 서울에 올라와 편입 준비를 하고 있다.
김씨는 "나도 공부 잘했지만 국립대학에 갔는데 서울에서 생활비를 한 달에 200만원씩 쓰면서 새벽부터 심야까지 공부하는 지금은 울화가 치민다"며 "서울지역 대학원에 진학해야 하는데 지방대 출신을 잘 받아주지 않으니 어쩔 수 없다"고 했다.
외국에는 '지방대'라는 말 자체가 없다.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일본 홋카이도대 스즈키 아키라(81) 교수는 학부부터 석·박사 과정까지, 교수직도 모두 홋카이도대에서 마쳤다. 홋카이도는 수도 도쿄에서 약 1200㎞ 떨어진 곳이다.
프랑스, 독일 등 유럽 대학들도 지역에 따른 서열화는 상상도 못 한다. 프랑스의 고등교육기관인 '그랑제꼴'도 전국에 200여개가 고루 분포해 있고, 수도 파리에 있는 그랑제꼴이 각 학문을 세분화해 지역에 캠퍼스를 만들기도 한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13/201108130005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