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当時、李承晩大統領が日本への亡命を打診」というKBS単独報道

一昨日のKBSニュース9」で流されたスクープ、のようですね。

これって開戦直後、北朝鮮軍が破竹の勢いで南進を続けている頃の話でしょう?記事中に出てくる文書の日付が1950年7月7日、米軍の仁川上陸作戦が9月15日です。ソウルから釜山に逃れるのも簡単ではなかった状況の中で、李承晩政権が日本亡命も含めてあらゆる可能性を考えていたとしても、何ら不思議ではありません。

しかも、公刊されていて図書館などで誰でも読める『山口県史』にちゃんと書かれているように、またWikipediaの「朝鮮戦争」の項にも下記の論文を出典として言及があるように、この事実自体が闇に埋もれていた、ということでは全然ないようです*1

庄司潤一郎「朝鮮戦争と日本の対応」(防衛研究所紀要第8巻第3号、2006年3月)

取材を通じて、KBSが改めてこの事実に光を当てた、といったところでしょうか。

[단독] “이승만 정부,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일 망명 타진”
입력2015.06.24 (21:19) 수정2015.06.25 (17:48) 뉴스 9 2015.06.24

<앵커 멘트>

6.25 전쟁 당시 이승만 정부의 대처에 대해 역사적 논란이 적지 않은데요.

그 가운데 하나가 '일본 망명 정부 요청설'입니다.

이승만 정부가 실제로, 당시 일본 정부에 '6만 명 망명 의사'를 타진했고, 일본이 '한국인 피난 캠프' 계획을 세웠다는 내용의 일본 측 문서를 KBS취재진이 처음으로 확인했습니다.

박재우 특파원입니다.<리포트>

6.25 당시 이승만 정부의 '일본 망명 요청설'을 확인하기 위해 야마구치 현 도서관을 찾았습니다.

야마구치 현의 공식 역사 기록.

한국전쟁 발발 이틀 뒤, 일본 외무성은 야마구치 현 지사에게 한국 정부가 6만 명 규모의 망명정권을 야마구치 현에 세우고 싶다'고 알려왔다며 가능한지 물었고, 당시 '다나카' 지사는 일본 주민들도 배급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어렵다는 답변을 합니다.

하지만 얼마 뒤 다나카 지사는 한국인 5만 명을 수용하는 내용의 '비상조치 계획서'를 내놓습니다.

미 군정 기록입니다.

야마구치 현 아부 등 4개 지역에 20개의 피난 캠프를 만들고, 임시 막사 1곳에 200명씩, 모두 250개 막사에 5만 명을 수용하겠다는 계획이었습니다.<인터뷰> 정우종(박사/교토 오타니대학) : "숙박시설이나 위생시설,식량문제라든가 그런 것을 5만 명 규모로(준비했습니다.)"

'다나카' 지사는 이 영문 계획서를 미 군정에 제출하고, 예산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당시 야마구치 현은 `조선정보실'이라는 별도 부서를 만들어 한반도의 정보를 상세하게 기록한 `조선정보'라는 문건을 총리 등 정부 각료들에게 수시로 보고했습니다."

조선정보실'은 한국전 발발 이틀 전, '북한 남침 위험 보고서'를 일본 정부에 제출하기도 했습니다.

문서에 따르면 이승만 정부는 망명을 타진했고 실행되진 않습니다.

사실이라면 6.25 초기 정부의 상황이 어땠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야마구치에서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3101415

[디·퍼 / 단독] “이승만 정부, 일본 망명 요청설” 사실이었다!
입력2015.06.24 (20:00) 수정2015.06.25 (17:50) 인터넷뉴스

한국전쟁 당시 이승만 前 대통령의 행동에 대해 역사적 논란이 많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일본 망명 요청설'인데요, 한국전쟁 당시 이승만 정부는 실제로 일본에 망명 요청을 했을까?

■ 이승만 前 대통령 ‘일본 망명 요청설’

한국전쟁 발생 직후 불과 사흘 만에 서울이 점령당하는 등 다급한 상황이라, 당시 한국 정부의 공식 기록은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사실 확인을 위해 `망명 지역'으로 거론됐던 일본 야마구치 현청의 도서관을 찾았습니다.

야마구치현의 역사를 기록한 `야마구치 현사'에서 1950년의 기록을 살펴봤습니다.


▲ 야마구치현사

당시 `다나카 타쓰오' 야마구치현 지사는 한국전쟁 발생 이틀 뒤인 6월 27일, 외무성을 통해 "한국 정부가 6만 명의 망명정권을 야마구치현에 세우고 싶어한다"는 전보를 받았다고 적혀있습니다.

이에 대해, `다나카' 지사는 현재 지역 주민들에게도 배급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고 있는 등 식량 문제가 심각하다며, `한국인 망명' 수용에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

■ 일 “한국인 5만 명 수용” 계획

`한국인 망명'에 대한 조금 더 정확한 공식 기록은 없을까?

여러 사람에게 확인하는 과정에서 교토의 한 대학에 있는 `재일교포 3세'인 교수님이 한국전쟁 당시 이 문제와 관련한 미국 공문서보관소의 `미 군정 문서' 마이크로 필름을 소장하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교토로 달려갔습니다.

이 문서는 한국전쟁 발생 열흘쯤 뒤인 1950년 7월7일의 기록이었습니다.

야마구치현의 `다나카' 지사는 일본 츄고쿠 지역 5개 현 지사 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한국인 5만 명 수용 계획'을 발표합니다.

`다나카' 지사는 영문으로 된 `비상 조치 계획'이란 제목의 이 보고서에서 야마구치현 아부 등 4개 자치단체에 20개의 피난 캠프와 마을을 만들고 임시 막사 1곳에 200명씩, 모두 250개 막사에 5만 명을 수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병실 등 의료시설과 위생시설, 식량지원 등의 내용도 포함돼 있습니다.

야마구치현은 이 영문 보고서를 당시 미 군정에 제출하고, 예산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 일본은 ‘조선정보실’…이승만 정부는 ‘깜깜이’

당시 식량부족으로 배급을 받는 등 패전의 상처를 극복하지도 못한 일본의 한 지방정부인 야마구치현이 이렇게 한국 관련 문제에 정통하고 발빠르게 대처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정보실'이라는 별도 기구를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조선정보실'에서는 일제 강점기때 조선총독부나 경찰로 한국에서 근무했던 한국말이 유창한 일본인을 특별 채용했는데, 한국의 라디오방송 등을 매일 청취하고, 야마구치 지역의 재일한국인들을 만나 한국 관련 정보를 수집했습니다.

이들은 이 정보를 모아 `조선정보'라는 문건을 만들어 일본 총리와 내각 각료들에게 수시로 보고를 했습니다.

한국전쟁 발생 이틀 전인 6월 23일에도 야마구치현 지사가 `북한이 남침할 위험성이 매우 높다며 대책이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일본 총리에게 전달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야마구치현의 `다나카' 지사는 한국이 북한과 중국,소련 등 공산주의 세력의 `1차 저지선'이고, 야마구치현은 일본 본토의 `방파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고 한반도 정세 변화를 꼼꼼하게 확인했습니다.

이 `한국인 피난 캠프' 계획이 어느 정도까지 진행됐는지 다른 문서를 더 찾아내지는 못했습니다.

그리고, 이승만 정부의 `일본 망명'도 인천상륙작전 등으로 전쟁의 양상이 완전히 바뀌면서 실행에 옮겨지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국전쟁 발생 직전, 이승만 정부가 한반도와 주변 정세에 얼마나 어두웠는지, 한국전쟁 발생 직후 이승만 정부가 어떤 상황이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3101393

日本語で読めるのは、簡単な要約と「ネットユーザーの声」で構成されたこちらの記事ですね。

朝鮮戦争時、韓国・李承晩政権が日本に亡命政権樹立を打診、6万人の亡命計画・・韓国ネット「日本に逃げようとしたなんて」「歴史を知るたび、失望と挫折を…」 - FOCUS-ASIA_COM

韓国の李承晩初代大統領、朝鮮戦争勃発の2日後に日本への亡命を打診=韓国ネット「国立墓地から追い出せ」「韓国は根っからの親日国家!」 - レコードチャイナ

個人的には、こうしたネットユーザーの声や、「民衆の声」や「京郷新聞」のような「進歩派メディア」がどんな後追い記事を書いているかに関わらず、こうした事実自体を「李承晩の恥」とする必要はまったくないと思うのです。

이승만 며느리 “일본 망명 요청설은 북한 조작___KBS는 종북빨갱이” - 민중의소리

이승만 정부 한국전쟁 당시 ‘일본 망명’ 계획서 확인 - 경향신문

もし李承晩を責めるとしても、ポイントはそこではないはずです。

http://korealand.tistory.com/1718

なので、趙甲濟さんのこれは、いささか過剰反応ではないかと。そんなに頭から否定してかからない方がいいような気がしますけどね。

韓國戰 65주년 맞아 KBS가 내어놓은 악랄한 誤報 - 뉴데일리

*1:この論文は、防衛研究所の戦史特集「朝鮮戦争と日本」にもそのまま収録されていま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