いま話題になっているこの件(実はさっき知った)、発端になったのは全南日報のスクープだったみたいですね。
発掘調査が始まったところですが、まずはその全南日報の記事をクリップ。
[단독]"5ㆍ18때 광주교도소에 끌려간 중상자들 사망 방치"
본보 당시 치료기록ㆍ사망 목격 교도관들 증언 확보
중상자 등 시민 150여명 이송… 치료도 못받고 사망
살인 행위 다름없는 만행… 교도관 "입도 뻥끗 못해"
입력시간 : 2017. 09.11. 00:00
1980년 5ㆍ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에서 작성된 \\\\\\\'광주사태시 소요체포자 치료현황\\\\\\\' 문건.1980년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잔혹한 진압에 의해 중상을 입은 채 광주교도소로 끌려온 민간인 일부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에 이른 정황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전남일보는 당시 광주교도소 내에서 이뤄진 중상자 치료 기록과 사망자를 목격한 교도관의 증언을 확보했다.
전남일보 취재 결과 광주교도소에는 5ㆍ18 당시 시위를 벌이다 전남대에 붙잡혀있던 150여명의 시민이 이송돼왔다. 이들은 이미 공수부대의 체포 및 조사과정에서 무자비한 구타 등으로 대부분 생명이 위중한 중상자였지만 계엄군은 적절한 치료는 물론 외부 의료기관 이송도 하지 않았다. 결국 사망에 이르게 한 셈이다.
본보가 입수한 광주교도소의 '광주사태시 소요체포자 치료현황' 문건과 당시 광주교도소에 재직했던 전 교도관들의 증언은 교도소 내에서 시위대 중상자에 대한 '치료 외면', '사망 방치' 등 사실상 살상 행위나 다름없는 '만행'이 있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1980년 5ㆍ18 당시 시위를 벌이다 공수부대에 잡혀 전남대 인문대 강당에 끌려갔던 광주시민 150여 명은 5월21일 도청 앞 집단 발포 직후 광주교도소로 이송됐다.
이 과정에서 군인들은 사방이 폐쇄된 '박스카(car)' 형태의 군용차량에 실린 시민들에게 독성이 강한 화학탄을 터뜨렸다. 이미 공수부대의 무자비한 진압에 중상을 입은 대다수 시민들은 코피를 쏟고 살갗이 벗겨지는 화상을 입었다. 차량에 실려있던 시민들은 질식증세를 보이기도 했고 일부는 결국 숨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날부터 계엄군의 삼엄한 경계 속에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광주교도소 안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학살이 벌어졌다. 시위대 중상자를 위한 별도 집중 치료는 커녕 흙바닥으로 된 창고에 집단 수용해 상태를 악화시켜 사망자를 키운 것.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광주교도소가 작성한 '광주사태시 소요체포자 치료현황' 문건이다.
광주교도소 의무과가 80년 6월 작성한 이 문건에는 5월21일 오후 5시30분부터 6월26일 오후 12시30분까지 교도소에서 치료받은 이들의 연인원과 사용 의약품 및 수량이 구체적으로 적혀있다.
'데모대 체포자', '소요체포자' 등으로 적힌 이들은 첫 치료가 시작된 21일에만 143명에 달했다. 해당 문건에는 이들 전부가 '중상자' 또는 '응급환자'로 적혔다. 하지만 정작 치료에 사용된 의약품은 해열진통제(살소노바킹주), 과산화수소수(옥시풀), 소독약(머큐롬) 등 기초약품들 뿐이었다.
약품 목록을 본 유경연 빛고을 전남대병원 교수는 이런 약품들로 중상자들을 치료했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 교수는 5ㆍ18 당시 전남대병원 레지던트로 5ㆍ18 부상자 치료에 적극 나섰다. 유 교수는 "대부분 기초약품에 불과하다. 목록만 본다면 가벼운 상처를 입은 환자 외에 실제 중상자는 없었을 것으로 추정될 정도"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시 광주교도소 의무과 소속이었던 민경덕(69) 전 교도관은 "해당 문건에 적힌 것은 전부 사실"이라고 증언했다.
민 전 교도관은 "당시 교도소에 중상자를 치료할 만한 시설이나 약품이 없었다. 의료인은 의무과장(의사)과 남자 간호사 등 2명 뿐이었다"며 "(체포자들은)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해도 모자랄 판이었는데 수가 많고 여건도 안돼 응급처치 밖에 할 수 없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치료가 행해진 창고 안은 중위 계급장을 단 군의관 1명과 군인들에 의해 통제됐다. 의무과 직원들은 하루 2차례 정해진 시간에만 창고에 출입했는데 주위를 둘러보려 하면 '뭘 보냐'며 고개를 숙인 채 일하게 했다"면서 "의식을 잃고 바닥에 쓰러져 대소변을 볼 정도로 상태가 안 좋은 환자도 있었지만 내버려 뒀다. 그런 환자들은 다음날 사라지고 없었다"고 말했다.
결국 5ㆍ18 기간 광주교도소에 끌려온 다수의 시위대 중상자들이 외부와 격리된 상황에서 제대로 된 치료도 받지 못한 채 사망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익명을 요구한 교도관 A씨는 "교도소 교무과에 설치된 조사실에서 군 당국의 조사를 받고난 뒤 송장이 된 채 들려나가는 사람을 봤다"면서 "똑같이 될까 두려워 교도관들은 입도 뻥긋 못했다"고 말했다.
김정대 기자ㆍ박종호 기자
광주교도소>
광주교도소는 1971년 북구 문흥동 10만6000여㎡의 부지에 건립됐다. 1980년 5월에는 2700여명의 재소자가 수용돼있었고, 교도관 322명이 근무하고 있었다. 5ㆍ18 당시 다수의 시위대가 체포돼 이곳에서 조사를 받았으며 일부 사망자 암매장 장소로 지목되기도 했다. 지난 2015년 10월 44년간의 문흥동 시대를 마감하고 삼각동으로 옮겼다.
[단독]"의식없고 대소변 못 가리는 중상자 이튿날 사라져"
5ㆍ18 당시 광주교도소 의무과 민경덕 교도관 인터뷰
5월21일 군용트럭에 부상자 50여명 실려와… 창고에 수용
의료진들 화상ㆍ총상 중상자 치료 계엄군들이 엄격히 통제
입력시간 : 2017. 09.11. 00:00
지난 6일 전남일보 취재진과 만난 민경덕 전 교도관이 5ㆍ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에 연행된 시위대의 치료 실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즉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해야 될 정도의 위중한 사람들이 들어왔는데…, 시설도 없고 의료진도 턱 없이 모자라 응급처치만 했지."
1980년 5ㆍ18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 의무과에 재직했던 민경덕(69) 전 교도관은 전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 80년 5월 참혹했던 교도소 내 시위대 치료 실태를 밝혔다. 민 전 교도관은 본보가 입수한 '광주사태시 소요체포자 치료현황' 문건을 작성한 광주교도소 의무과에 근무하고 있었다.
민 전 교도관에 따르면 '치료현황' 문건은 당시 추가 예산 확보차원에서 내부결재용으로 작성됐다. 80년 5월21일부터 그해 6월26일까지 치료받은 체포자 연인원과 사용 의약품 및 수량, 비용이 구체적으로 적혔다.
● "체포자들 군용트럭에 실려왔다"
민 전 교도관의 증언과 당시 '치료현황' 문건에 의하면 광주교도소에 시위대가 연행돼 온 건 80년 5월21일 오후 5시께로 추정된다. 문건상 치료가 시작된 시각은 이날 오후 5시30분.
민 전 교도관은 "석가탄신일(5월21일) 저녁엔가 교도소 면회실 옆 등나무 인근에 군용트럭들이 도착하더니 시위대를 쏟아냈다"고 회상했다.
민 전 교도관은 "트럭 안에는 의식을 잃은 사람들이 최소 50명 이상 피를 흘리며 무더기로 쌓여 있었는데 군인들이 이들은 쏟아내다시피 끌어내렸다. 최루탄 가스 냄새가 지독하게 나서 근처에 가는 것조차 힘들 정도였다"면서 "내려놓고 바람이 조금 부니까 점차 의식을 차리는 이도 있었다. 교도소에 의무실이 존재했지만 이 만한 수를 수용할 수 없어 일단 창고로 옮겼다"고 말했다.
빗자루와 삽, 곡괭이 등 교도소 청소와 시설관리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관하는 창고였다. 20평 규모의 직사각형 형태 통 건물은 구획을 나눠 청사 청소를 맡는 재소자들에게 일을 분배할 사무실로도 쓰이고 있었다. 부상자 치료를 하기엔 부적합한 장소였지만 체포자들은 군인들에 의해 차가운 시멘트 바닥에 내팽개 쳐졌다.
● "군인들 통제에 고개조차 못 들었다"
당시 광주교도소는 군인들에 의해 완전히 통제됐다. 민 전 교도관은 '점령당했다'고 표현했다. 그는 "교도소 외벽에는 군인들이 10m 간격으로 참호를 파고 경계근무를 하고 있었다"며 "5ㆍ18 기간 교도관들도 외출이 금지돼 사실상 감금 상태에서 교도소 내 교회당에서 숙식을 해결했다"고 말했다.
당시 창고에 끌려온 체포자들의 치료는 계엄군이 짜놓은 일정에 의해 이뤄졌다. 교도소 의무과 직원들은 군인들이 호출하면 부상자들이 있는 창고에 들어가 치료를 진행했다.
창고 안에서 군인들의 제약은 더욱 심했다. 군인들은 교도관들이 부상자들과 일체 대화를 나누지 못하게 했다. 민 전 교도관은 "치료도 고개를 숙인 채 진행하게 했다. 주위를 둘러보려 고개를 들면 '뭘 보냐'며 위협했다. 그렇기에 환자 숫자 파악도 제대로 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곁눈질로 본 부상자들은 군인들에 의해 말소리도 내지 못하고 바닥에 앉아만 있었다. 몸을 일으키지 못할 정도로 다친 이들은 벽에 기대 있었다. 그들끼리 서로 대화를 하거나 얼굴을 쳐다보지 못하도록 군인들이 지켜보고 있었다. 치료를 마치고 나면 군인들이 교도소 교무과에 마련된 '조사실'로 데리고 갔다.
● "화상환자 대다수… 총상자도 존재"
민 전 교도관은 5월21일 첫 치료가 있던 날 중증 화상환자가 대다수였다고 기억했다. 그는 "이상하게 화상 환자가 많아서 거즈나 붕대를 많이 썼다. 환부를 보면 다리 같은데는 환부가 넓게 퍼져있는 등 한군데만 다친게 아니라 여러군데에서 화상이 발견됐다"면서 "2~3도 화상으로 꽤 심각한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화상환자의 치료를 위해 옷을 벗기려 하면 최루탄 가스 냄새가 훅 풍겼다. 민 전 교도관은 "옷을 조금만 건드려도 최루탄 가스 때문에 눈을 못 뜰 정도였다"며 "우리도 최루탄 가스가 어떤지는 알지만 그렇게 심하게 나는 건 처음이었다. 그때 당시에는 이 사람들이 최루탄에 범벅이 됐나보다 생각했다"고 말했다.
화상 환자가 다수 발생한 것은 전남대에서 광주교도소로 이송 당시 시위대를 실은 차량에 계엄군이 화학탄을 떠뜨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민 전 교도관은 당시 총상환자도 존재했던 것으로 기억했다. 그는 "총상자로 보이는 이가 있었다. 피를 꽤 많이 흘렸던 것으로 기억한다"며 "마침 리도카인(마취제)을 구비하고 있어 마취하고 봉합했는데 따로 탄환이 나오거나 한 것은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일부 심각한 중상자들은 거의 죽기 직전의 상태였지만 사실상 방치됐다. 민 전 교도관은 "첫날 치료를 제대로 못하고 다음날 아침에 가보니 어떤 사람이 몸을 못 움직이니까 그런건지 누운 채로 대소변을 봤더라. 그 정도로 심각한 수준의 부상자가 더러 있었다"며 "다음날에는 그 환자를 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 "전부 중상자인데 의료진 모자랐다"
문건에는 첫날인 5월21일 치료받은 체포자 수가 143명으로 나온다. 시간은 오후 5시30분부터 7시50분까지 1차 치료,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1시까지 2차 치료가 있었던 걸로 기록됐다. 총 5시간20분 동안 치료에 동원된 의무직원은 4명 뿐이다. 여기에 군 당국에서 중위 계급장을 단 군의관 1명이 나와 치료를 했다.
교도소 직원 중 실제 치료가 가능한 의료인은 의무과장(의사)과 남자 간호사 등 2명 뿐이었다. 나머지 2명은 민 전 교도관과 같이 교정직 공무원으로 업무를 보조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민 전 교도관은 "부상자가 워낙 많으니까 나 같은 경우에도 치료에 투입됐다"면서 "당시에는 교도소 근무를 꺼리는 분위기가 있어 의사들이 의무과에 지원하려 하지 않았다. 우리 교도소 같은 경우에도 상당히 연로한 의사분이 의무과장을 맡고 있었다. 그 만큼 열악한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전문의료기관이 아닌 교도소 특성상 중상자들을 치료할 시설이나 의약품도 없었다. '치료현황' 기록에 해열진통제와 소독약 등 기초약품들 일색인 이유다. 민 전 교도관은 "할 수 있는 게 응급처치 뿐이었다"며 "당시 기준에서 보더라도 제대로 된 치료가 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글ㆍ사진=김정대 기자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서는 무슨 일이
입력시간 : 2017. 09.11. 18:30
김천 기자
광주교도소 사망자 철저한 진상규명을
5ㆍ18때 치료중 사망 50여명 달해
입력시간 : 2017. 09.12. 00:005ㆍ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광주교도소에서 치료 중 사망한 시민이 52명이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계엄군의 잔혹한 진압으로 중상을 입은 시민들이 제대로 된 치료조차 받지 못했던 것도 드러났다. 인도주의 정신마저 외면한 계엄군의 비인간적 만행이 치가 떨린다.
전남일보 취재 결과 5ㆍ18 당시 체포돼 광주교도소로 이송된 150여 명의 시민 가운데 52명이 치료를 받지 못해 숨졌고 ,암매장 의혹까지 제기됐다. '중환자'나 '응급환자'로 분류된 이들이 받은 치료도 창고에서 해열진통제나 소독약이 전부였다. 계엄군이 사실상 치료를 외면한 채 시민들에게 살상 행위나 다름없는 '만행'을 저지른 셈이다.
전직 보안과 교도관이 공개한 "관사 옆 비탈길에 암매장했다."는 계엄군의 대화 내용도 충격이다. 5ㆍ18당시 광주에는 화순 너릿재 입구와 영산강 상류, 오치동 용전마을 뒷산, 문화동 교도소 부지 등에 암매장이 이뤄졌을 것이라는 추측이 잇따라 제기됐다. 사실이라면 경악할 일이다.
아무리 참혹한 전시라도 부상자에 대한 치료는 인간으로서 당연한 일이다. 하물며 사경을 헤매는 무고한 시민들에게 치료는커녕 이를 죽도록 방치하고 그것도 부족해 암매장까지 한 계엄군의 행태는 도저히 용서할 수 없는 반인도적 행위다.
위임된 국가 권력으로 자국 국민을 살상한 중대한 범죄이기도 하다. 제대로 된 민주사회에서 이같은 반인도적 범죄를 용서할 수 없다.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의 은폐된 진실을 규명하고 가해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 5ㆍ18 이후 행방이 묘연한 행방불명자에 대한 전면적인 재조사도 필요하다.
5ㆍ18 광주교도소 암매장 유력지점도 증언 나왔다
익명 요구 당시 교도관, 추정 장소ㆍ매장 경위 등 밝혀
본보 취재진 최초 확보… 행불자 찾기 새로운 전환점
입력시간 : 2017. 09.13. 00:00
지난 2007년 촬영한 광주교도소 전경. 붉은 원안 1~3은 5ㆍ18 당시 교도관이 암매장 추정 장소로 지목한 장소다. 4는 시위대 중상자들이 수용된 창고, 5는 계엄군 조사실, 6은 교도소 정문 검문소. 전남일보 자료사진전남일보가 5ㆍ18민주화운동 기간 동안 '계엄군이 광주교도소 내 3곳에 다수의 사망자를 암매장한 뒤 은폐했다'는 당시 교도관의 증언을 최초로 확보했다.
광주교도소는 5ㆍ18 피해자 암매장이 이뤄진 유력한 장소로 지목돼 왔지만, 교도소 부지가 3만여 평에 달한데다,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희생자 발굴작업이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5ㆍ18 당시 광주교도소에서 근무했던 교도관이 암매장 추정 장소 및 매장 경위, 은폐 정황 등을 상세히 밝힘에 따라 5ㆍ18 암매장 의혹 및 행방불명자 찾기 노력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익명을 요구한 A씨는 1980년 5월 광주교도소에서 내ㆍ외곽 치안을 담당하는 보안과 소속 교도관으로 재직했다. 5월18일 이후 광주시내에서 심상찮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을 알게된 어느 날 A 교도관은 평생 잊지 못할 장면을 보게 됐다. 계엄군이 며칠 동안 군용 트럭에 여러 구의 시신을 싣고 와 교도소 곳곳에 암매장하는 모습을 목격한 것이다.
포장이 덮인 군용 트럭이 교도소 접견실 옆 등나무 밑에 주차하자, 옷과 얼굴이 흙으로 범벅이 된 시위대들이 내렸다. 충격적인 건 그 다음이었다. 차 안에 거적으로 덮여진 시신들이 놓여 있었다. 가마니로 만든 들것을 가져온 군인들이 시신을 창고 뒷편 화장실로 옮긴 뒤 이튿날 암매장했다. 며칠에 걸쳐 똑같은 방식으로 시신들이 암매장됐다.
광주교도소 안에서 발생한 사망자와는 별개로 계엄군들이 광주 내ㆍ외곽에서 숨진 시신들을 광주교도소에 집중적으로 암매장했다는 추정이 가능한 대목이다.
A씨는 본인이 직접 본 것과 동료 교도관들의 목격담 등을 토대로 계엄군들의 암매장 추정 장소 3곳을 구체적으로 지목했다. △교도소장 관사 뒤편 △간부 관사로 향하는 비탈길 △교도소 감시대 옆 공터다.
특히 교도소장 관사 뒤편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핵심 증인이었던 고영태씨의 아버지 고(故) 고규석씨 등 8구의 시신이 발견된 곳이기도 하다. 담양에 거주하던 고씨는 5월21일 광주에서 차량으로 교도소 인근 도로를 지나다 계엄군의 총탄에 사망했으며 5월30일 교도소 안에서 시신으로 발견됐다.
A교도관은 계엄군이 암매장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도 상세히 묘사했다. 군인 6~7명이 야전삽을 이용해 직사각형 형태로 잔디를 걷어내고 야전삽 길이 만큼 구덩이를 파고 시신을 묻고 잔디로 다시 덮었다. 이때 나온 흙은 판초우의에 차근차근 쌓아놓고, 남은 흙은 인근 논에 뿌리거나 먼 곳에 버리는 방식으로 시신을 묻은 흔적을 전혀 남기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새로 파낸 흙을 모두 치우고 잔디가 뿌리를 다시 내릴 경우 암매장 장소는 외관상 구분이 불가능해진다.
정수만 5ㆍ18 기념재단 비상임연구원(전 5ㆍ18유족회장)은 "여러 증언들을 종합할 때 광주교도소 안에 희생자 시신이 암매장된 것은 사실로 보인다"면서도 "그러나 광주교도소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계엄사령부 등 군 기록이 공개되지 않아 그 어떤 것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성원 기자ㆍ김정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