葬墓文化・自然葬・樹木葬関連
定期的な情報収集の一環として。
まずは、「SBSニュース8」から。「環境に優しい」とかいう樹木葬が、利用者の財布に厳しい「金のなる木」になっている事例の報告です。もちろん悪徳業者の暗躍という理解の仕方もあるでしょうが、葬墓文化とは言っても、経済合理性を重視する新自由主義やグローバリズムといった現代韓国のトレンドと無縁ではないことを窺わせる、といった読み方もできそうです。
あ、ちなみに下の画像はキャプチャですから、動画はリンク元からご覧ください。
수목장 뜨자 바가지 기승…'명당' 가격 수억원
<8뉴스><앵커>
우리가 성묘 갈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전국 어디나 묘지가 너무 많지요. 그래도 요즘은 수목장 같은 새 장묘문화가 빠르게 정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이걸 갖고 장난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문준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작은 소나무 앞 30cm 너비의 구덩이 안으로 조심스럽게 유골함이 내려집니다.
80여 년 평생 가족을 위해 헌신하며 사신 어머님의 마지막 길.
유골함 위로 한 삽씩 흙을 덮으며 나무와 함께 영면하게 될 고인을 생각합니다.
[박복식/유족 : 말대로 자연 그 상태로 돌아가셨으니까 너무나 본인도 좋아하실거라고 믿습니다.]
최근 10년간 화장 인구가 2배 가까이 급증하면서, 분골을 나무 아래 안치하는 수목장도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의 국유 수목장림인 이 곳은 문을 연 지 2년여 만에 추모목 2009그루 가운데 86%의 분양이 완료됐습니다.
최근엔 포화상태인 국립묘지에까지 수목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법안을 개정하는 방안까지 추진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가지 요금과 관리부실 등 일부 사설업자들의 횡포는 수목장 확대를 가로막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경기도 용인의 한 사설 장묘공원.
시중에서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대에 구입할 수 있는 소나무와 주목나무 등이 자라고 있습니다.
나무 한 그루를 여러 가족이 공유하는 공동 수목장의 경우 분양비용은 수백만 원 정도지만, 한 가족만 쓰려고 하면 수천만 원을 호가합니다.
명당으로 꼽히는 자리는 수억 원까지 나갑니다.
[장묘업자 : 여기서부터가 시작인 겁니다. 이 수목장 전체의 혈이 굉장히 좋은 자리예요. (분양가로) 책정된 게 4억 책정돼 있어요.]
절에서 운영하는 이 곳은 허가도 받지 않고 한 그루당 400만원씩 받고 나무를 분양하고 있습니다.
계단도 없는 좁고 가파른 계단식 묘지 위에 한 그루라도 더 놓으려고 어린 나무를 빼곡하게 심었습니다.
[주지승 : (무허가라는 건) 알고 들어오는 거니까. 그렇다고 해서 (수목장) 자체가 없어질 게 아니고, 절을 지어놓은 상태니까 제가 있는 때까지는 관리 다 되는 거니까.]
무허가 수목장의 경우엔 분양받은 나무가 천재지변으로 유실될 경우, 제대로 보상받기 힘듭니다.
수목장을 분양받을 경우, 우선 지방자치단체에 허가를 받았는지 확인한 다음 약관상 보상규정과 관리규정을 꼼꼼하게 챙길 필요가 있습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 설민환, 영상편집 : 이용한, 최혜영)
최종편집 : 2011-09-12 20:35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986198
次いで、「京郷新聞」から2本。風水地理などに連なって前近代からの価値観を引き継ぐ葬墓文化と、急激に変化した現代韓国社会との間の葛藤に目を向けたオピニオン記事と、全羅北道の井邑市で、首長の交代も絡みながら10年以上にわたって火葬場などの施設造成が難航しているというニュース。
周辺情報としては、このへんが参考になるでしょうか。
[여적]바뀌는 장례문화노응근 논설위원
입력 : 2011-09-13 20:29:02ㅣ수정 : 2011-09-13 20:29:03풍수지리는 명당발복설(明堂發福說)을 주장한다. 묏자리인 음택의 경우 죽은 사람이 좋은 터에 묻히면 후손이 번창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조상이 편안하면 후손도 편안함을 느끼고, 반대로 조상이 불안하면 후손도 불안함을 느낀다는 동기감응설(同氣感應說)이 깔려 있다. 명당 운운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죽은 조상과 후손의 동기감응은 뼈를 통해 이뤄지므로 어설프게 명당을 찾기보다는 차라리 화장을 하는 것이 낫다고 충고하는 이도 있다. 명당 여부를 잘 모를 바에야 화장을 통해 좋은 기운이든 나쁜 기운이든 감응 자체를 아예 차단하라는 것이다.
한국의 화장률은 1990년대 초만 해도 20% 미만이었으나 2005년 처음으로 매장률을 넘어선 데 이어 지난해는 67.5%로 높아졌다. 올해는 70%에 이를 전망이라고 한다. 얼마 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전국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자신의 장례방법으로 화장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79.3%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도 이미 장묘문화가 매장에서 화장 중심으로 바뀐 것이다.
화장이 대세가 되면서 유골을 보관하는 새로운 방식도 등장하고 있다. 유골을 섭씨 700~900도에서 10분간 열처리해 보석과 같은 광물질 사리로 ‘성형’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무색무취하고 변색·변질되지 않아 집에서도 반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유족이 원하면 브로치나 펜던트 같은 장신구로도 만들 수 있다. 유명 종중에서도 사리 성형을 한 사례가 있다고 한다. 현재의 납골당 중심의 장묘문화를 대신할 수 있을지는 두고 볼 일이다.
퇴계 이황 선생의 종손인 이근필옹(80)이 ‘시속(時俗)을 따르라’는 퇴계 선생의 정신을 이어받아 화장문화를 따르겠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혔다는 소식이다. 납골묘인 봉안당에 들어가겠다는 것이다. 이옹은 “후손의 일을 덜어줘야 조상을 모실 의지도 생긴다”며 “종가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장묘문화의 전통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다.
전통적인 장사법인 매장이 오늘날 핵가족 중심의 사회에서 그대로 유지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가장 큰 이유는 관리의 어려움이다. 부모조상을 매장해놓고 1년에 한두 번 갈까 말까 할 정도로 방치하는 것은 오히려 조상에게 불효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장례문화도 시대 변화에 따라 바뀌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인 것 같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9132029025&code=990201
정읍, 화장장 조성사업 10여년 ‘헛바퀴’
박용근 기자
입력 : 2011-09-14 22:31:01ㅣ수정 : 2011-09-14 22:31:02ㆍ단체장 바뀌면 새 사업 추진…설계·보상비만 낭비
전북 정읍시 민선4기 강광 시장은 지난해 실시된 6·2 지방선거에서 재선에 실패했다. 그는 퇴임 9일을 남겨놓고 지역 현안사업이었던 화장장 및 납골당 조성공사 협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했다. 그는 “성실의무를 이행하지 않는다”고 협약을 파기한 이유를 설명했다. 협약을 맺었던 (재)화신묘원은 “정치적 논리로 희생됐다”며 반발했다.
새로 취임한 김생기 정읍시장은 협약이 파기되자 부안, 고창군과 손잡고 광역화장장 설치 사업을 새로 추진하고 있다.
정읍시가 장묘문화 개선을 위해 공설화장시설을 만들기로 한 때는 1999년이다. 이때부터 6년간 공모 등을 거쳐 네 번을 추진했지만 번번이 주민반발로 무산됐다. 확보된 국비 8억4000만원을 반납하기도 했다.
지난 6월28일 정읍시청 중회의실에서 김생기 정읍시장(왼쪽에서 네번째)과 이강수 고창군수(왼쪽에서 세번째), 김호수 부안군수(오른쪽에서 세번째)가 ‘서남광역 공설화장시설 건립에 관한 상호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 정읍시 제공2006년 공모절차를 다시 거쳐 화신묘원과 광역화장장 설치 협약을 맺고서야 다시 희망이 보였다. 인근 주민들을 설득한 끝에 2009년 화장장 건축설계를 완료했다. 하지만 정읍시는 공사를 시작하지 않았다. 때마침 화신묘원 재단 내에 분쟁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전임 시장 퇴임을 며칠 앞둔 지난해 6월21일 갑자기 해지 통보됐다.
화신묘원 김년규 이사장은 “정읍시장 선거에서 현직 시장을 지원하지 않았다고 해서 보복하기 위해 아무런 대안을 고려치 않고 해지통보했다는 의혹을 갖지 않을 수 없다”면서 “현재 내분이 정리돼 당장이라도 착공할 수 있는 시설을 폐기해 버리고 다시 혈세를 낭비하려는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당시 실무를 담당했던 공무원 ㄱ씨는 “시가 10년 동안 막대한 행정력을 동원해 추진해 온 사업이므로 섣불리 해지해서는 안되고 후임 시장에게 판단을 맡겨야 한다고 건의했으나 묵살됐다”면서 “사업을 다시 시작하려면 부지 확보가 어렵고, 주민지원금이 늘어나 이미 쓴 예산을 날리는 셈이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정읍시는 화장장 시설 실시설계와 환경영향평가 등 행정절차 비용으로 2억8000여만원을 썼다. 인근 3개 마을과도 지원사업비 70억원을 투자하는 조건으로 합의를 끝내 ‘민원제로’인 상태로 만들었다.
그러나 감사원의 위임을 받아 조사를 벌인 전북도는 정읍시 담당공무원들이 협약해지 과정에서 일관성을 잃어 행정의 신뢰를 실추시키고 직무를 소홀히 했다며 문책조치를 하도록 통보했다.
행정절차와 주민민원이 마무리된 기존 시설부지에 대한 협약이 해지되자 정읍시는 최근 인근 고창군과 부안군이 참여하는 광역화장장 시설을 새로 추진 중이다.
정읍시 복지여성과 관계자는 “수차례에 걸쳐 재단에 시행 촉구 공문을 보냈는데도 내분이 발생해 묵묵부답하는 바람에 사업 의지가 없는 것으로 간주해 해지통보한 것”이라면서 “민선4기에서 너무 지지부진했기 때문에 신임 시장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단행한 조치”라고 말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9142231015&code=950312
そういう停滞のニュースがあるかと思えば、蔚山からは現代重工業の労働組合が慶州に建設しようとしている総合保養所の敷地内に、組合員・退職者や地域住民のための樹木葬林を造成・運営するという話。
日本では、「パナソニック墓地」など会社が設立した墓地のことは比較的耳にすることがありますけど、「労働組合立」ってのはあまり聞いたことがありませんねえ。
<현대중 노조 자연휴양림에 '수목장' 만든다>
휴양림 지정된 '휴양소'에 조성..대기업 노조로선 첫 사례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현대중공업 노조(위원장 오종쇄)가 조합원 가족을 위해 자연휴양림에 수목장(樹木葬)을 만들기로 했다.
대기업 노조가 직접 수목장을 만들고, 운영하는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노조는 이 같은 계획을 세우고 앞으로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수목장은 묘지로 인한 국토잠식과 산림훼손을 줄이기 위해 고인의 유골을 화장한 후 골분을 나무 밑에 묻는 자연 친화적인 장묘방식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5월 `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도입됐다.
노조는 현재 건립을 추진 중인 평생종합휴양소 안에 수목장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노조는 조합원, 퇴직자, 협력업체 근로자, 지역주민을 위해 경북 경주시 산내면에 대규모 평생종합휴양소를 건립하기로 했다.
평생종합휴양소가 들어서는 땅은 산림이 우거진 자연 그대로의 환경을 갖고 있어 최근 산림청으로부터 자연휴양림으로 지정ㆍ고시됐다.
대기업 노조 차원에서 처음 만들어 운영할 이 수목장 조성계획은 자연적인 장묘문화인 수목장 확대와 정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희망하는 조합원과 가족에게 노조가 운영하는 수목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앞서가는 복지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노조는 이에 앞서 2009년 평생종합휴양소 건립을 위해 노조 사업비 50억원 가운데 28억5천만원으로 경주시 산내면 대현리 산 211번지 일원에 67만8천958㎡(20만5천여평) 규모의 땅을 샀다.
회사로부터 2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땅을 추가로 사들이기도 했다.
특히 노조는 2004년 당시 민주노총 산하의 상급노동단체인 금속산업연맹에서 탈퇴하면서 매년 내던 연맹비 5억여원을 적립해 마련한 27억여원을 휴양소 건립사업에 투입하기도 했다.
노조는 이 땅 가운데 16만㎡(5만평) 가량에 수목장을 세우면 충분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노조는 내년 상반기에 평생종합휴양소 착공식을 열 계획이다.
완공까지는 예산이 더 필요한 만큼 회사 측으로부터 지원받거나 다른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노조의 평생종합휴양소는 △복지시설로 연수원, 숙박시설, 식당, 편의점 △위락시설로 축구장, 헬스클럽, 야외수영장, 눈썰매장 △휴양자연체험시설로 지압 산책로, 등산로, 체력단련장, 조각공원, 곤충체험실 등을 갖출 예정이다.
2011/09/26 05:35 송고
http://www.yonhapnews.co.kr/local/2011/09/24/0812000000AKR20110924049700057.HTML
で、先ほどの井邑で1999年に始められた火葬施設の設立計画が「火葬場+納骨堂」という取り合わせだったのに対し、後発組の今どきの計画はやはり、自然葬を導入して多目的公園化というのがトレンドなのかなあ、と思われます。
下記は、そうした事例の一つとして、「京仁日報」に載っていた京畿道驪州郡の公設墓地再開発のニュース。
여주 공설묘지 자연장지로 재개발
후보지 가업·본두·처리 3곳 주민 설명회
이천시 경계지역 장사시설 공동건립 추진데스크승인 2011.09.29
박승용여주군이 기존 공설묘지를 공원형 자연장지로 재개발키로 하고 시범사업 후보지 선정작업을 진행중이다.
28일 군에 따르면 군은 장례문화 변화에 맞춰 낙후된 공설묘지를 최신 장묘시설로 바꿔 주민이 공원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수십년된 공설·공원묘지의 매장공간 부족현상을 해결하면서 사설 공원묘지를 이용하는데 따른 주민의 경제적 부담도 줄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여주지역의 59개 공동묘지는 이미 찼고 4개 공설묘지도 매장률이 90%를 넘어 묘지 부족현상이 심각한 실정이다.
군은 이에따라 지난 5월 공설묘지 재개발사업 기본설계 용역에 착수하고 여주읍 가업리와 가남면 본두리, 점동면 처리 등 후보지 세곳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중 일부지역은 혐오감을 주는 공설묘지에 대한 리모델링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전해지고 있다.
공설묘지 재개발은 기존 분묘를 이장 또는 화장하고 3만㎡ 이상 면적에 자연장지와 공원을 조성하는 방식이다. 자연장지는 유골을 잔디나 수목 아래에 한면 30㎝ 정도의 정육면체 공간에 묻는 것으로 기존 분묘의 10배를 수용할 수 있다.
자연장지 주변에는 광장과 산책로, 운동시설, 쉼터 등 공원 기능을 강화해 주민들이 찾는 시설로 조성할 방침이다.
군은 올해 안에 시범 후보지 한 곳을 선정한 다음 실시설계, 진입로 부지 매입, 분묘 개장 등을 거쳐 2014년 완공할 예정이다.
한편 군은 이천시가 추진중인 장사시설(화장·장례·봉안시설) 건립을 공동 추진하자고 지난 7월 제안했다. 이천시 장사시설 후보지 세곳중 두곳(부발읍 죽당1리, 설성면 자석2리)이 여주군(능서면 용은리, 가남면 은봉리)과 인접해 여주군민이 반발한데 따른 대안이다.
군은 두 시·군 경계에 공동시설을 건립하면 지역간 갈등을 해결하면서 예산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승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