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の火葬率、最新(2012年9月発表)の数字

去年の数字はこちらにあります。それ以前の数字については、そこのリンクを漁ってください。

韓国の火葬率、最新(2011年9月発表)の数字

発表の通り、火葬率が5割を超えたのが2005年、6割を超えたのが2008年で、7割を超えたのが2011年ということになります。個人的な印象では、頭打ちするのはまだ先だと思います。釜山・仁川・蔚山・ソウルといった大都市で高い火葬率がさらに比率を上げているだけではなく、忠清道全羅道も今回、軒並み火葬率が5割を超えてきましたし。

화장률 70% 돌파 … 부산 85_8% 최고 - DATANEWS

장례문화 10년만에 격변__화장률 71_1% - 이데일리


지난해 화장(火葬)률 70% 넘어


보건복지부는 지난 해 전국 화장률이 71.1%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2010년의 67.5%보다 3.6%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10년 전인 2001년(38.3%)의 거의 두 배 수준이다. 사진은 서울추모공원 화장로에서 화장한 시신을 옮기는 무인 운반대차가 시험 작동을 하는 모습.(자료사진)

10년새 38%→71%..정부, 규제 완화로 '자연장' 유도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우리나라의 화장률이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해 전국 화장률이 71.1%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2010년의 67.5%보다 3.6%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10년 전인 2001년(38.3%)의 거의 두 배 수준이다.

성별로는 화장을 택한 남성의 비율이 74.4%로 여성(66.8%)보다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화장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특히 3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91%가 화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지역별로는 부산의 화장률이 85.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인천(84.7%), 울산(79.8%), 서울(78.7%)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전남(51.9%), 충남(53.7%), 충북(54.7%) 등은 화장률이 낮았다.

수도권 화장률은 78.9%로 비수도권(66.0%)에 비해 12.9%포인트나 높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는 모두 53곳의 화장시설이 있고 올해 안에 2곳(용인, 경주), 내년 상반기에 2개곳(울산, 공주)이 추가로 문을 열 예정이다.

정부는 화장과 함께 안치 시설 수요도 늘어날 것에 대비, 공설 봉안당 8곳과 자연장지 11개곳을 새로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자연친화적이고 비용부담도 적은 '자연장(自然葬)'을 권장하는 차원에서 관련 규제도 완화할 방침이다. 자연장은 화장하고 남은 뼛가루를 나무나 화초, 잔디 등에 묻는 방식의 장례를 말한다.

이미 지난달 종중이나 문중의 자연장지 조성 사업을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꿨고, 앞으로 자연장지 조성 면적 기준을 법인의 경우 '10만㎡이상'에서 '5만㎡이상'으로, 문화재보호구역의 경우 '5천㎡미만'에서 '3만㎡미만' 등으로 낮추는 방안도 추진한다.

2012/09/27 12:00 송고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2/09/27/0701000000AKR20120927104000017.HTML?template=5566

記事入力 : 2012/09/28 12:54
火葬率7割超えるも火葬場建設は難航

 韓国の火葬率が70%を超えた。死亡者の10人に7人は火葬されていることになり、火葬場を増やす必要があるが、各地で住民の反対が強く、建設が白紙化するケースも出ている。特に首都圏の場合、このままでは深刻な火葬場不足に陥ると懸念されている。

 保健福祉部(省に相当)は27日、昨年の火葬率が全国で71.1%だったと発表した。2010年の67.5%に比べ3.6ポイント上昇、10年前の01年(38.3%)に比べると約2倍となっている。

 男女別では、男性の火葬率が74.4%で女性(66.8%)を上回った。年齢が低いほど火葬率が高く、30代以下では91.0%が火葬されている。地域別では、釜山市の火葬率が85.8%で最も高く、次いで仁川市(84.7%)、蔚山市(79.8%)、ソウル市(78.7%)が続く。これに対し、全羅南道(51.9%)、忠清南道(53.7%)、忠清北道(54.7%)などは火葬率が低かった。

 保健福祉部の関係者は、特に首都圏で火葬場が足りないが、ソウル市瑞草区院趾洞に「ソウル追慕公園」が1月にオープンし、12月には京畿道竜仁市に「平穏の森」がオープンするため、ある程度は不足が解消されると説明した。だが、火葬率の急上昇に加え死亡者も大幅に増える傾向にあることから、今後も火葬場を増やす必要があるとしている。

 首都圏の多くの市や郡が火葬場の建設を推進しているが、これを「迷惑施設」と捉える地元住民の強い反対で難航している。京畿道安山市、利川市、抱川市は火葬場の建設地または優先交渉対象の用地を選定したものの、住民の反対で行き詰まっており、同じく用地を公募・選定済みだった富川市、金浦市、漣川郡は地元の理解が得られず事業を撤回した。ソウル市の追慕公園も、地元住民の反発で用地選定から建設までに10年かかった。

 安山市は火葬場の建設に向け、07年に検討した候補地18カ所を3カ所に絞り込み、10年に常緑区楊上洞のソラク谷を最終候補地に決定した。だが、住民の反対で2年にわたり事業を進められずにいる。市は、地元住民を火葬場のある追慕公園で優先的に雇用し、売店など付随施設の経営権を割り当て、道路拡充や地域住民発展基金など600億ウォン(約42億円)のインセンティブを提供する方針を示したが、反対運動は収まっていない。反対する住民たちは、地元に火葬場ができればイメージの低下、資産価値の下落、交通渋滞の発生といった弊害があると主張している。

 利川市も今年6月、丹月洞への火葬場建設を決めたが、住民の一部が対策委員会を構成するなど強い反発に遭い、足踏み状態が続いている。また、抱川市は昨年8月、周辺の議政府市、楊州市、東豆川市、南楊州市、九里市などと共同で使用する広域火葬場の建設地として、永北面夜味1里の土地を優先交渉対象に選定した。だが、やはり地元の理解を得られず、住民が裁判所に提訴する事態となった。

 生死儀礼文化研究院の姜東求(カン・ドング)院長は「ソウル・院趾洞の火葬場を見ても分かるように、環境汚染や悪臭は先進国の火葬場以上に抑えられており、問題はなくなった。霊きゅう車の往来などに対する心理的な拒否感の克服が課題だが、自治体が十分に時間をかけて住民を説得し、思い切ったインセンティブを提供してこそ解決できるだろう」と話している。

キム・ミンチョル記者

http://www.chosunonline.com/site/data/html_dir/2012/09/28/2012092801107.html

화장률 70%대로… 화장시설 건립은 곳곳서 차질
김민철 기자
박진영 기자

입력 : 2012.09.28 02:55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계속되는 지역이기주의, 화장 대란 우려
안산·이천·포천 화장부지 선정 난항, 부천·김포·연천은 주민 반대로 철회
화장률 10년 전보다 2배 늘어 - 매점 운영권·직원 채용 등 각종 혜택 내걸어도 "반대"
"영구차 이동 등에 따른 정서적 문제 극복이 과제"

우리나라 전체 장례 건수 중 화장(火葬) 비율이 70%를 넘어섰다. 사망자 10명 중 7명은 화장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장 시설을 많이 늘려야 하는데도 곳곳에서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건립이 무산되고 있다. 특히 수도권은 화장 시설을 더 짓지 않으면 '화장 대란'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지난해 전국 화장률이 71.1%였다고 밝혔다. 2010년의 67.5%보다 3.6%포인트 높아졌다. 10년 전인 2001년(38.3%)의 거의 2배 수준이다.

성별로는 화장을 택한 남성의 비율이 74.4%로 여성(66.8%)보다 높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화장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0대 이하에서는 91%가 화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지역별로는 부산의 화장률이 85.8%로 가장 높았고, 인천(84.7%), 울산(79.8%), 서울(78.7%) 등 순이었다. 반대로 전남(51.9%), 충남(53.7%), 충북(54.7%) 등은 화장률이 비교적 낮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특히 수도권 화장 시설이 부족한데, 서울 원지동 '서울추모공원'이 지난 1월 문을 열었고 올 12월 용인 '평온의 숲'까지 문을 열면 당장은 어느 정도 적체가 풀릴 것"이라며 "그러나 화장률이 급증하는 데다, 사망자 숫자도 크게 느는 추세여서 화장 시설을 계속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 여러 시·군에서 화장 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다. 화장을 하겠다면서도 "우리 동네에 화장터를 짓는 건 절대 안 된다"는 님비 현상 때문이다. 안산·이천·포천은 화장 시설 터까지 선정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답보 상태에 있고, 부천·김포·연천은 최근 터를 선정했다가 주민들의 반대로 추진을 철회했다. 서울 원지동 추모공원도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대지 선정 후 건립까지 10년이 걸렸다.

안산시는 화장 시설을 건립하기 위해 2007년에 검토한 18개 후보지를 3개로 압축한 후 2010년 양상동 서락골을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지만, 주민들이 반대해 2년째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안산시는 주민들을 추모공원 직원으로 우선 채용하고, 매점 등 부대시설 운영권을 배정하고, 도로 확충과 지역주민발전기금 등 인센티브 600억원을 제공하겠다고 했지만 반대 운동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반대 주민들은 화장장이 들어서면 지역 이미지 훼손, 자산 가치 하락, 교통 체증 등 피해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천시도 지난 6월 단월동 단월1통 지역을 화장 시설 터로 선정했지만, 반대 주민들이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강력 반발하면서 답보 상태에 있다. 포천시는 지난해 8월 인근 의정부·양주·동두천·남양주·구리 등과 공동으로 사용할 광역 화장장 대지로 영북면 야미1리 지역을 우선 협상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 역시 인근 주민들과 법적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강동구 생사의례문화연구원장은 "원지동 화장 시설에서 보듯, 환경오염과 악취는 선진국 시설 이상으로 좋아져 문제가 없어졌다"며 "그러나 영구차 이동 등에 따른 정서적인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 과제인데, 지자체가 충분한 시간을 갖고 주민들을 설득하면서 파격적인 인센티브도 제공해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9/28/2012092800049.html

ただ、これだけ急激に比率が上がると、火葬施設の不足があちこちで顕在化してくるのは必然です。問題は、単なる施設の不足だけでなく、施設設置に対する住民の理解や、施設を持てる地域と持たざる地域との地理的・料金的な格差など、多岐にわたってきます。

주민은 화장비 5만원, 타지서 오면 100만원… 님비 현상 돌파하려는 고육책
김민철 기자
입력 : 2012.09.28 02:55

경기 성남·수원 등서 실시… 시·군에 화장 시설 건립 유도

경기도 성남의 화장 시설인 영생관리사업소는 성남시민이 화장 시설을 이용할 경우 5만원을 받는다. 그러나 타 지역 주민이 찾아오면 100만원의 요금을 받는다. 20배 차이가 나는 것이다. 서울 원지동 추모공원도 서울시민(고양·파주 포함)에게는 9만원을 받지만 다른 지역 주민은 건당 100만원을 받는다.

이처럼 화장 시설이 있는 지역 주민과 타 지역 주민을 차별하는 이유는 지방자치단체들이 화장 시설을 건립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인천가족공원도 인천시민이 화장 시설을 이용하면 9만원만 받지만, 타지역 주민에게는 100만원을 요구하고 있다. 시신 1구를 화장하는 데 드는 원가는 30만원 정도로 알려졌는데 지역 주민에게는 저렴하게 서비스하고, 타 지역 이용자에게 비싸게 받아 비용을 보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만이 아니다. 타 지역 주민은 화장이 몰리는 오전 시간에 예약하는 것을 제한하는 곳도 있다. 화장 전날 오후 1시까지 기다렸다가 예약이 없을 경우에만 이용 가능한 것이다. 그때까지는 대기 상태로 기다리거나 신청이 뜸한 오후 화장을 예약할 수밖에 없다. 부천·안양·안산·안양·김포·시흥·화성 등 화장 시설이 없는 지역 주민이 이 같은 불편을 겪고 있다. 자기 지역에 화장 시설이 없어서 시설을 찾아 헤매야 하고, 직·간접적인 장례 비용도 많이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이 같은 주민 불편 때문에 화장 시설이 없는 시·군은 지역에 화장 시설을 건립하려고 하고 있지만 부지를 선정하면 인근 주민이 반대해 건립을 못 하는 경우가 많다.

신산철 생활개혁실천협의회 사무총장은 "화장 시설을 시·군마다 설치할 필요는 없고 3~4개 인근 시·군이 공동으로 화장 시설을 건립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9/28/2012092800053.html

そうした諸問題の解決に、「朝鮮日報」が掲げたこの社説のような、口だけエラそうな上から目線の説教が、役に立たないどころか有害無益であることくらいは、私でもわかります。

この社説子はたぶん、ソウル市立の火葬場がある高陽市碧蹄の住人でもなければ、瑞草区院趾洞の住民でもないでしょう。「自分が住んでいるアパートの隣に葬墓施設の設置計画が持ち上がった時に、自分ならどうするか」という想像力は働いてもいないと思わせる口ぶりです。何様なんでしょうね、大新聞の社説を書くようなお方は…。

フリーライダーならせめてフリーライダーらしくすることが、こうしたNIMBY問題に向き合うための最低条件だと、私は思いますよ。

記事入力 : 2012/09/29 09:57
【社説】近所への火葬場建設に反対する人たち

 昨年の死亡者25万7396人のうち、71.1%が火葬されたことが、集計の結果分かった。1991年には17.8%に過ぎなかった火葬率が、20年で70%を突破したのを見ると、火葬を自然のことと受け止める葬儀文化が定着していると言える。

 全国の火葬施設は53カ所で、1日777件の火葬が可能だ。1日の火葬者数が平均502人だということを考えると、全体の火葬施設には余裕がある。しかし、葬儀を行うたびに車で(郊外まで)1、2時間かけて駆けつけ「遠征火葬」しなければならない地域が多いのが現実だ。全羅南道は22の市・郡のうち、火葬場があるのは木浦、麗水、順天、光陽、高興の5カ所だけだ。羅州、和順、霊光、長城、潭陽など、同道中・北部の住民は光州永楽公園(火葬場)で、光州市民より6倍も高い54万ウォン(約3万8000円)を支払って火葬している。

 しかし、自分を火葬してほしいと遺言していながら、実際に近所に火葬施設が立てられることには反対する自分勝手な住民が問題だ。京畿道河南市は2007年、広域火葬施設を誘致しようとしたが、住民たちが市長を相手にリコールまで行い、誘致計画が白紙化となった。同道抱川市は昨年、京畿北部の七つの市・郡が共同で使用する広域火葬場の建設を推進し、候補地を選んだが、住民たちの反対に遭い、計画が進んでいない。同道安山市も07、08年の2度にわたって追慕公園候補地を公募したが、結局失敗し、10年には候補地を選んだものの、住民たちが行政審判を請求して反対したため、それ以上進められずいる。

 今年1月にソウル市瑞草区院趾洞にできたソウル追慕公園は、住民たちの反対で完成までに約10年かかったが、いざ始動したところ、住民たちが反対理由として掲げていた環境汚染や悪臭問題は全く出ていない。日本では東京都内の住宅街にも火葬場があり、香港では学校のすぐ横の建物で火葬場を運営している。家の近所に火葬場を立てないでほしいと叫ぶ人たちには、火葬してほしいと遺言する権利もない。

http://www.chosunonline.com/site/data/html_dir/2012/09/29/201209290029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