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当時の青年射殺を戒厳軍元兵士が遺族に直接謝罪

このニュース、「5.18」についてある程度の関心を持ってきた者として、個人的にかなり衝撃を受けました。これは、誰にとっても簡単なことではないですよ。強制的に実現できることではありません。

40年という歳月の経過と、時代状況と、関係各位のセットアップや説得、そして当事者の受容。いろいろな要素が絡み合って実現したのだと思います。

www.youtube.com
www.youtube.com

この一件はもしかしたら、様々な立場の関係者や公的機関、最終的には国家の選択にも、影響を及ぼすかもしれませんね。

청년 쏴죽인 5.18 계엄군, 유족 앞 첫 공개 사죄
5.18묘지서 만나 41년 만에 회한의 눈물... 유족 "사과해줘 고맙다" 용서
21.03.17 13:19 l 최종 업데이트 21.03.17 14:54 l 소중한
[기사 수정 : 17일 오후 2시 55분]

f:id:bluetears_osaka:20210318115426j:plain
▲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사격으로 인해 무고한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인정하며, 지난 16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족을 직접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 왼쪽부터 고 박병현씨 형 박종수씨, 송선태 위원장, A씨. ⓒ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41년 만의 첫 사례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한 청년을 사살했던 계엄군 출신 A씨가 지난 16일 유족을 직접 찾아 사과했다. 계엄군 출신이 유족 앞에서, 특히 자신이 직접 죽인 이의 가족을 만나 공개 사죄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청년의 형은 A씨의 사죄를 받아들였다. 뿐만 아니라 "사과해줘 고맙다"며 외려 그를 끌어안았다. 두 사람은 부둥켜안은 채 용서와 회한의 눈물을 흘렸다.

'고백과 증언'은 이렇게 첫발을 내딛었다.

유족 "오래 전 다 용서, 명령 내린 놈이 나쁜 놈"

f:id:bluetears_osaka:20210318115538j:plain
▲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사격으로 인해 무고한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인정하며, 지난 16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족을 직접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 왼쪽부터 A씨, 김영훈 유족회장(중앙), 고 박병현씨 형 박종수씨. ⓒ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5.18 당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사격으로 인해 무고한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인정하며 유족을 직접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라며 "그간 진압 작전에 참여했던 계엄군들이 목격한 사건들을 증언한 경우는 많이 있었으나 가해자가 자신이 직접 특정인을 숨지게 했다며 유족에게 사과 의사를 밝힌 경우는 최초"라고 발표했다.

앞서 A씨는 위원회를 통해 자신이 1980년 5월 23일 광주시 남구 노대동 소재 '노대남제' 저수지 인근에서 시민을 죽였다고 고백했다. 위원회는 당시 그곳에서 죽은 피해자의 신상을 A씨에게 제시했고, A씨는 그 사람이 자신이 죽인 이가 맞다고 인정했다.

A씨가 사살한 인물은 '국립5.18민주묘지 2-02'에 잠들어 있는 고 박병현씨다. 1956년생인 박씨(5.18 당시 25세)는 광주의 시계점에서 일하던 중 고향 보성의 농촌 일을 돕기 위해 길을 나섰다가 7공수여단 33대대 8지역대 소속의 A씨에게 총을 맞아 사망했다.

위원회는 A씨가 유족에 사죄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자 박씨의 형을 만나 이를 전했다. 박씨의 형은 "우리 가족은 이미 오래 전에 다 용서했다. 그 군인이 무슨 죄가 있겠나. 명령을 수행한 죄밖에 더 있겠나. 명령을 내린 놈이 나쁜 놈"이라며 사죄를 받아들일 의사를 밝혔다.

위원회는 두 사람 만남의 공개 여부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A씨의 사죄를 개인의 도덕적 반성을 넘어 공적 영역으로 이끌어 낼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위원회의 공개 사죄 제안에 고민을 이어가던 A씨는 결국 이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f:id:bluetears_osaka:20210318115656j:plain
▲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사격으로 인해 무고한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인정하며, 지난 16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족을 직접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 왼쪽부터 A씨, 김영훈 유족회장, 송선태 위원장, 고 박병현씨 두 형제. ⓒ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A씨와 박씨의 두 형제는 16일 국립5.18민주묘지 민주의문 접견실에서 만났다. A씨는 이 자리에서 유족에게 엎드려 절하며 "어떤 말로도 씻을 수 없는 아픔을 드려 죄송하다. 저의 사과가 또 다른 아픔을 줄 것 같아 망설였다"며 눈물을 흘렸다. 이어 "지난 40년 동안 죄책감에 시달렸다"며 "유족을 이제라도 만나 용서를 구할 수 있어 다행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박씨의 형 박종수(73)씨는 "늦게라도 사과해줘 고맙다. 죽은 동생을 다시 만났다고 생각하겠다"며 "용기 있게 나서줘 참으로 다행이고 고맙다. 과거의 아픔을 다 잊어버리고 떳떳하게 마음 편히 살아달라"고 답했다.

위원회는 "그간 위원회는 조사 활동을 통해 A씨의 고백과 유사한 사례를 다수 확인했다"며 "향후 계엄군과 희생자 간 상호 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위원회가 이를 적극 주선해 조사위 설치 목적대로 사과와 용서를 통한 불행한 과거사 치유 및 국민통합에 기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f:id:bluetears_osaka:20210318115802j:plain
▲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사격으로 인해 무고한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인정하며, 지난 16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족을 직접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 왼쪽부터 송선태 위원장, A씨, 고 박병현씨 두 형제. ⓒ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27701

5.18 계엄군·유족 만남 이끈 이 사람 "양심고백 이어지길"
[스팟인터뷰] 최용주 5.18진상조사위 1과장 "유족 찾아 공개 사죄, 세계사적으로도 드물어"
21.03.17 15:57 l 최종 업데이트 21.03.17 16:49 l 소중한

f:id:bluetears_osaka:20210318120013j:plain
▲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사격으로 인해 무고한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인정하며, 지난 16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족을 직접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 고 박병현씨의 형 박종수씨(오른쪽)와 박씨를 죽인 A씨가 부둥켜안은 채 오열하고 있다. ⓒ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익명의 대상을 상대로 사과하는 사례는 그 동안 많았는데, 자신이 죽인 이를 특정해 그 유족을 만나 사죄한 건 세계사적으로도 드문 일이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한 청년을 사살했던 계엄군 A씨가 지난 16일 유족을 직접 찾아 사과했다. 그 동안 일부 계엄군의 목격담은 여럿 있었지만, 계엄군이 직접 자신이 죽인 이의 유족을 만나 공개 사과한 건 41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관련기사 : 청년 쏴죽인 5.18 계엄군, 유족 앞 첫 공개 사죄 http://omn.kr/1sgv4).

고백과 증언, 사과와 용서가 이뤄지기까지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위원장 송선태)의 역할이 컸다. 지난해(2020년) 7공수여단의 작전사항을 살피기 위해 고 박병현씨(1956년생)의 사례를 추적하던 위원회는 A씨가 박씨를 죽인 인물임을 알게 됐다.

지난 1월 A씨를 만난 위원회는 그로부터 '사죄하고 싶다'는 의사를 확인했고, 이를 전남 해남에 사는 박씨의 형 박종수(73)씨에게 전했다. 박씨는 고민 끝에 A씨를 만나기로 했다.

위원회는 A씨의 사죄를 개인의 도덕적 반성을 넘어 공적 영역으로 끌어오고자 했다. 그래서 A씨에게 공개 사죄를 요청했다. A씨로선 위축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나 위원회 설득 끝에 이를 받아들였다.

f:id:bluetears_osaka:20210318120113j:plain
▲ 최용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조사위원회 조사1과장 ⓒ 이희훈

이번 만남을 총괄한 최용주 위원회 1과장은 17일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유족도 '응어리가 풀렸다'고 말하고, A씨도 연신 '고맙다'고 그러더라. 두 사람이 부둥켜안고 펑펑 울었다"라며 "우리 위원회로서도 가장 보람된 순간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례를 통해 계엄군들의 양심고백이 이어졌으면 한다. 결국 사과와 용서가 아픔을 치유하고 사회통합으로 나아가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 아니겠나"라며 "앞으로 이러한 사례가 축적되면 자연스레 5.18 당시 광주에서 있었던 야만적 국가폭력의 실상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아래 최 과장과의 인터뷰를 일문일답으로 정리했다.

"유족도 고마워했다... 보람된 순간"

- 어떻게 해서 계엄군을 만나게 됐나.

"2001년 '대통령직속 의문사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문사위)'에 신고됐었던 박씨의 죽음은 (죽인 사람을 특정할 순 없었지만) 사망 원인이 명확했고 보상 절차가 진행됐었기에 의문사위 역할 상 조사가 개시되지 않은 사건이었다. 우리도 이 사건을 다시 들여다본 건 (박씨가 숨진 곳 인근에서의) 7공수여단 이동경로 및 작전사항을 살피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사안을 훑어보던 중 7공수여단 소속 군인의 양심고백을 발견했고 이것이 박씨의 죽음과 연관이 있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A씨를 찾아갔더니 그도 놀라면서 '당시의 행위 때문에 고통을 겪고 있다'고 우리에게 고백했다. 그는 '이제라도 유족을 만나 용서를 빌고 싶으니 위원회가 자리를 마련해줬으면 좋겠다'고 요청했다.

- 그래서 박씨의 유족을 찾아가게 된 것인가.

"그렇다. (당시 25세였던 박씨의) 아버님, 어머님은 돌아가셨고 형제 분들이 계셨다. 전남 해남에 살고 계신 큰형님을 직접 만났다. 나와 조사관이 '당신 동생을 사망하게 한 계엄군의 신원을 알게 됐다. 그가 용서를 구하고자 한다'고 말했더니 그는 한참 생각에 빠졌다. 그러더니 '고통을 내려놔야 할 것 같다'며 사죄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 계엄군과 유족의 만남을 언론에 공개하는 것을 두고 위원회도 고민이 많았을 것 같다.

"(국가폭력에 의한) 사과와 용서는 개개인 간의 문제로 끝나선 안 된다고 생각했다.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의미가 있다. A씨의 신원은 공개하지 않는 선에서 그의 사과를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유족도 이를 받아들였다."

- 공개 사과를 제안하자 A씨는 어떤 반응이었나.

"고민을 많이 하더라. 다만 이 과정이 갖는 사회적 의미에 대해 충분히 설명했고 이에 공감했다."

f:id:bluetears_osaka:20210318120311j:plain
▲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참여했던 공수부대원이 자신의 사격으로 인해 무고한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인정하며, 지난 16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족을 직접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 왼쪽부터 고 박병현씨 형 박종수씨, 송선태 위원장, A씨. ⓒ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 계엄군이 자신이 직접 죽인 이의 유족을 만나 사죄를 했다는 것 자체로 큰 의미가 있어 보인다.

"5.18 이후 처음 있는 일이며 세계사적으로도 드문 일이다. 기존엔 계엄군의 목격담 등이 전부였는데 A씨는 본인의 행위에 대한 고백을 한 것 아닌가. 또한 익명의 대상을 상대로 사과하는 사례는 그 동안 많았는데, A씨처럼 자신이 죽인 이를 특정해 그 유족을 만나 사죄한 건 매우 드물고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유족도 '내가 용서하고 싶어도 누굴 용서해야 할지 몰랐는데 이렇게 나서줘 고맙다'고 하더라."

- 어디선가 보고 있을 다른 계엄군 출신들에게도 의미 있는 메시지가 될 것 같다.

"그렇다. 이번 사례를 통해 계엄군들의 양심고백이 이어졌으면 한다. 실제로 그럴 것이라 생각한다. 결국 사과와 용서가 아픔을 치유하고 사회통합으로 나아가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 아니겠나. 이미 우리 위원회도 유사한 사례 몇 건을 더 다루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사례가 축적되면 자연스레 5.18 당시 광주에서 있었던 야만적 국가폭력의 실상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 개인적으로도 감회가 남다를 것 같다.

"유족도 '응어리가 풀렸다'고 말하고, A씨도 연신 '고맙다'고 그러더라. 두 사람이 부둥켜안고 펑펑 울었다. A씨는 오늘 아침에도 전화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왔다. 우리 위원회로서도 가장 보람된 순간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 위원회의 역할이 앞으로도 중요하겠다.

"위원회 설립 목적인 진실규명을 위해선 가슴 아픈 과거사 때문에 찢긴 사회 구성원의 갈등을 해소해야 하는 과제를 풀어내야 한다. 사회 통합의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관점에서 위원회 활동을 이어가겠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727776

オーマイニュースに比べると、京郷新聞のこちらの記事は短いですが、1980年当時の状況についてより詳しく伝えています。

5·18 때 계엄군 유족 찾아 참회...직접 용서 구한 첫 공수대원
강현석 기자 2021.03.17 20:43 입력

“겁에 질려 도망가는 민간인을 사살했다”

f:id:bluetears_osaka:20210318120629j:plain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 투입됐다가 고향으로 가던 박병현씨를 사살한 것으로 확인된 공수부대 출신 A씨가 16일 박씨 묘지를 찾아 용서를 구하고 있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 제공

묘지 앞에 무릎 꿇고 “사죄”
직접 용서 구한 첫 공수대원
“40년간 죄책감에 시달렸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광주에 투입됐던 공수부대원이 희생자의 유족을 만나 사죄했다. 계엄군이 자신이 직접 사살한 사망자의 유족을 만나 용서를 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5·18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공수부대원 A씨(66)가 지난 16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박병현씨 유가족을 만나 사죄와 용서를 구했다”고 17일 밝혔다.

A씨는 5·18묘지에 안장된 박씨의 묘역을 찾아 무릎을 꿇고 참배했다. 이날 A씨의 참배에는 박씨의 형과 동생 등 유가족 3명이 함께했다. A씨는 5·18 당시 25세였던 박씨에게 총격을 가해 사살한 당사자다.

박씨는 1980년 5월23일 농사일을 돕기 위해 광주에서 고향인 보성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당시 광주 외곽을 차단한 계엄군들로 인해 차량이 운행되자 않자 박씨는 걸어서 보성으로 가기 위해 친구와 함께 노대동 ‘노대남제’ 저수지 인근을 지나다 A씨 부대와 맞닥뜨렸다.

7공수 33대대 8지역대 소속이었던 A씨는 정찰을 하고 있었다. 박씨 일행이 도망치자 A씨는 곧바로 M16 소총으로 사격을 가했다. A씨 부대원들은 죽은 박씨를 인근 야산에 묻고 철수했다. 박씨의 시신은 5·18 직후 가족들에 의해 6월2일 발견됐다. 고향에 묻혔던 A씨는 6월11일 진행된 부검에서 머리 총상이 확인됐다. A씨는 5월30일 부대로 복귀한 뒤 전역했다.

5·18 당시 숨진 시민들의 개별 사망경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5·18진상규명위는 지난 1월 A씨 부대가 박씨 사망장소에서 작전을 폈던 사실을 확인했다. 조사관들이 찾아가자 A씨는 “내가 비무장한 사람을 사살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자신의 잘못을 시인했다고 한다. A씨는 2차례 면담에서 “당시 정찰을 하다 도망가는 민간인이 있었는데 (부대원 중)나만 무의식적으로 총을 쐈고 부대원들이 매장했다”면서 “박씨는 단지 겁에 질려 도망가던 상황이었다”고 진술했다.

A씨가 진술한 지역에서 사망한 시민은 박씨가 유일했다. 자신이 죽인 사람이 박씨라는 사실을 전해 들은 A씨는 상당한 충격을 받은 뒤 유가족을 만나 용서를 빌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지난 1월에는 혼자 광주를 찾아 박씨의 묘역을 참배하고 사죄하기도 했다.

박씨의 유족들도 고심 끝에 A씨를 만나기로 했다. 2시간여 동안 박씨의 유가족을 만난 A씨는 “어떤 말로도 씻을 수 없는 아픔을 드렸다. 40년간 죄책감에 시달렸다”고 오열했다. 박씨의 형인 박종수씨(73)는 “늦게라도 고맙다. 죽은 동생을 다시 만났다고 생각하겠다”며 용서했다.

5·18진상규명위는 “5·18 당시 시민들을 사살했다”는 당시 계엄군 3~4명의 증언을 확보하고 사망한 시민이 누구인지를 추가로 추적하고 있다. 5·18진상규명위 관계자는 “A씨처럼 계엄군들이 당당히 증언해 5·18의 진실을 밝혀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https://m.khan.co.kr/view.html?art_id=202103172043005

京郷新聞と言えばこちらでもこの件が取り上げられています。時事問題を風刺する4コマ漫画とは言え、取り上げるのが早いですね。

またこの件、日本語で記事になっているのは今のところこれだけでしょうか。

www.thenewstance.com

朝鮮日報でも記事になっているので、いずれは日本語版に出るかもしれません。

www.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