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の火葬率、最新(2011年9月発表)の数字

過去の関連記事はいろいろあると思いますが、とりあえずはこのあたりですか。

『聯合ニュース』の火葬記事2005-2007

ちなみに、去年の数字はこちらにあります。

韓国の火葬率、10年で2倍に

火葬率の記事・追加分

韓国で火葬が10年で2倍に、土葬からの転換進む
2011/09/09 10:16 KST

【ソウル聯合ニュース】韓国の保健福祉部は9日、昨年の死亡者25万5403人のうち、67.5%に当たる17万2276人が火葬したことを明らかにした。前年比で2.5%増。2000年の33.7%からは倍増している。

 少子高齢化核家族化で世帯間のつながりが弱まり、土葬より簡単で管理しやすいことから火葬が急増しているとみられる。

 社会環境の変化で、火葬はさらに増えると見込まれ、保健福祉部は火葬施設を継続的に拡大していく計画だ。葬儀場に火葬炉の設置を許可し、自治体が火葬施設を共同で設けるようにする。また、環境にやさしく、費用の負担が少ないことから関心を集めている自然葬の活性化に向け、自然葬地の面積や区域などに関する規制を緩和する方針だ。

 全国の火葬施設は51カ所・火葬炉227基で、建設中の火葬施設は8カ所・火葬炉57基となっている。

http://japanese.yonhapnews.co.kr/society/2011/09/09/0800000000AJP20110909001000882.HTML

記事入力 : 2011/09/10 10:33:56
韓国でも火葬が主流に(上)

昨年は3人のうち2人が火葬
火葬場の設置規制緩和の動きも

 昨年9月に父親を亡くしたソウル市江南区蚕室に住むキムさん(40)は、父の遺体を火葬に付し、京畿道広州のチュンデ公園に埋葬した。深さ30センチの穴を掘って遺骨を安置し、その上に芝生を敷いた。父は一切の痕跡を残すことなく、自然に帰る形となった。

 キムさんは「父の遺言に従ったが、最初は封墳(墳丘)もない場所に父を埋葬することに抵抗があった。しかし、遠い故郷に埋葬するのとは違っていつでも行くことができるし、今は5歳の息子への教育という面でも良かったと思う」と話した。

 韓国でも埋葬方法として火葬が主流になってきている。

 昨年、全国で火葬が行われた割合は67.5%に達し、3人のうち2人が火葬に付されたことになる。10年前の2000年には火葬の割合が33.7%にとどまり、土葬が大部分を占めていたが、最近では火葬と土葬の割合が逆転している。

 保健福祉部(省に相当)は9日、外国人を除く昨年の死亡者25万5403人のうち、火葬に付されたのは17万2276人で、1日平均で472人が火葬されたと発表した。09年は16万人、1日平均440人だったことから、7.5%増えたことになる。火葬率はここ10年間にわたり1度も減少することなく上昇を続けている。

 地域別に見ると、土葬が比較的難しい都市部での火葬率が高かった。ソウルや釜山など七つの特別市・広域市での割合は75.5%で、それ以外の市や道では61.8%だった。

 男女別では男性の火葬率が70.6%で女性(63.1%)よりも高く、死亡者の年齢が若いほど高くなっている。つまり、若い世代ほど火葬を選ぶ傾向にあるということだ。



金徳翰(キム・ドクハン)記者

http://www.chosunonline.com/news/20110910000019

記事入力 : 2011/09/10 10:34:06
韓国でも火葬が主流に(下)

昨年は3人のうち2人が火葬
火葬場の設置規制緩和の動きも

 保健福祉部は「少子高齢化核家族化の影響で、土葬は火葬に比べて後々の管理が大変だ。また土葬に比べて衛生的という認識が広まっているのも、火葬率が高まっている要因ではないか」とコメントしている。

 こうした状況を受け、病院付属ではない専門の葬儀場に火葬場を設置できるようにするなど、施設関連の規制も大幅に緩和される見通しだ。

 また二つ以上の地方自治体が共同で火葬施設を設置できるよう規制を緩和するほか、公園墓地の設置基準も現行の10万平方メートル以上から、その半分にまで緩和する予定だ。また住宅地や商業地区、工業地区の一部で、火葬場の建設を認める方針だ。

 現在、国会法制司法委員会で審議が行われている関連法案が通過すれば、直ちに施行令が改正され、このような政策が実行に移される見通しだ。

 全国には火葬施設が51カ所、火葬炉が277基あるが、さらに8カ所の火葬施設と57基の火葬炉が年末までの完成を目指して建設されている。

 保健福祉部老人支援課のチェ・ヨンホ課長は「都市では火葬施設の不足が問題になっているが、来年5月にソウル市瑞草区院趾洞の“ソウル追慕公園”や、京畿道竜仁市の“竜神平穏の森”が完成すれば、施設不足はある程度改善されるだろう」「自然に優しく費用面でも負担が少ない自然葬をさらに増やすため、今後もさまざまな政策に取り組んでいきたい」と説明した。

金徳翰(キム・ドクハン)記者

http://www.chosunonline.com/news/20110910000020

これは、韓国の保健福祉部の発表を受けての報道ですから、各紙それぞれに記事を掲載しています。その中からめぼしいものを韓国語でもさらにクリップ。

釜山の83.5%、仁川の81.1%、蔚山の77.7%、ソウルの75.9%などといったあたりが火葬率の上位で、済州の48.3%、忠清南道の48.4%、全羅南道の48.4%といったあたりが下位圏ということになります。とは言え、地域差はありながらもどこも上昇を続けているということが、数字的にも明らかに見てとれます。

이제 火葬이 대세…작년 화장률 67.5%


호텔처럼 깨끗하고 쾌적한 벽제 화장장(자료사진)

부산 화장률 87.8% 최고, 최저는 제주 48.3%
복지부, 전문장례식장 화장로 설치 허용 추진

(서울=연합뉴스) 김상훈 기자 = 장례문화 변화로 화장(火葬)이 보편화하면서 10년 만에 화장률이 2배로 뛰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외국인을 제외한 사망자 25만5천403명 가운데 17만2천276명이 화장으로 장례를 치러 전국 화장률이 67.5%였다고 9일 밝혔다.

이는 10년 전인 지난 2000년의 화장률 33.7%의 2배가 넘는 수치다.

하루 평균 화장으로 장례를 치른 인원은 472명으로 전년의 440명에 비해 32명이 늘었다.

저출산고령화와 핵가족화로 가계 내 세대간의 결속력이 약해진 데다, 화장이 상대적으로 위생적이고 간편하며, 사후관리도 쉽다는 장점 때문에 매장을 제치고 대세로 자리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부산의 화장률이 83.5%로 가장 높았고, 인천(81.1%), 울산(77.7%) 서울(75.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화장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로 48.3%였고 충남(48.4%), 전남(48.4%)도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수도권 화장률은 75.5%, 비수도권은 62.1%로 수도권 화장률이 비수도권에 비해 높았다.

또 서울, 부산 등 7개 특별시와 광역시 화장률은 75.5%, 그 외 시·도는 61.8%로 대도시의 화장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화장률이 70.6%로 여성(63.1%)에 비해 높았고, 연령대별 화장률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사회환경 변화로 앞으로 화장률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복지부는 화장시설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전문 장례식장에 화장로 설치를 허용하고, 지자체간에 화장시설을 공동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을 완화할 예정이다.

또 자연친화적이고 비용 부담이 적은 미래지향적 장사방법의 대안으로 부상한 자연장을 활성화하기로 하고, 이를 위해 자연장지 조성 면적 및 구역 등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편, 현재 전국의 화장시설은 51개소(화장로 277기)이며, 현재 신축 중인 화장시설은 8개소(화장로 57기)다. 이 시설은 대부분 올 연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1/09/09 06:00 송고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1/09/08/0701000000AKR20110908200300017.HTML

이제 장례는 火葬이 대세… 10년 새 두 배 늘어 67%
김덕한 기자
입력 : 2011.09.10 03:09

"관리 쉽고 위생적" 인식, 작년 사망자 3명중 2명 화장
"병원 외 전문 장례식장에 화장로 허용 등 규제 완화"

지난해 9월 부친상을 당한 김모(40·서울 잠실동)씨는 화장(火葬)으로 장례를 치르고, 경기도 광주에 있는 중대공원 자연장지에 유해를 모셨다. 깊이 30㎝로 땅을 파내 유해가 든 용기를 안치한 후, 그 위에 다시 잔디를 덮었다. 선친은 외형상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않고 자연으로 돌아간 것이다.

김씨는 "선친의 유언을 따른 것이지만 처음엔 봉분도 없는 곳에 아버지를 모셨다는 자괴감이 들기도 했다"며 "그러나 지금은 멀리 고향에 모신 것보다 자주 가볼 수 있고, 다섯 살짜리 아들의 교육적인 면에서도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장례문화에서 화장(火葬)이 대세로 굳어지고 있다.

지난해 전국 화장률은 67.5%로 세 명 중 두 명 이상이 화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10년 전(2000년 화장률 33.7%) 매장이 화장보다 두 배 많았던 것과 정반대 상황이 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외국인을 제외한 사망자 25만5403명 가운데 화장으로 장례를 치른 사람이 17만2276명으로 하루 평균 472명이 화장으로 장례를 치렀다고 9일 밝혔다. 2009년 16만명, 하루 평균 440명보다 7.5% 증가한 것이다. 한 해도 빠짐없이 매년 화장률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매장이 상대적으로 더 어려운 도시 지역의 화장률이 높았다. 서울·부산 등 7개 특별시·광역시의 화장률은 75.5%, 그 외 시·도는 61.8%였다.

성별로는 남성의 화장률이 70.6%로 여성(63.1%)에 비해 높았고, 연령대별 화장률은 사망자 연령이 낮을수록 높아 세대가 내려올수록 화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저(低)출산과 고령화, 핵가족화로 사후 관리가 어려운 매장보다 화장을 선호하는 데다가 화장이 깨끗하고 위생적이라는 인식도 확산돼 화장률이 계속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병원 부속이 아닌 전문 장례식장에는 화장로(爐) 설치를 허용하는 등 화장 시설 관련 규제도 대폭 완화할 방침이다.

또, 두 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화장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고, 공원묘원 조성면적 기준도 현행 10만㎡ 이상에서 그 절반 수준으로 완화할 예정이다. 주거·상업·공업지역에도 일부 화장시설을 허용할 방침이다.

현재 국회 법사위에 계류돼 있는 관련 법안이 통과되면 곧 관련 시행령을 개정해 이 같은 정책들을 시행하게 된다.

현재 전국의 화장시설은 51개(화장로 277기)이며, 8개(화장로 57기)가 올 연말 완공을 목표로 신축 중이다.

최영호 복지부 노인지원과장은 "화장시설이 부족한 수도권 지역인 서울 원지동 '서울추모공원'과 경기 용인 '용인평온의 숲'이 내년 5월 완공되면 시설 부족 현상이 어느 정도 개선될 것"이라며 "특히 자연친화적이고 비용 부담이 적은 자연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9/10/2011091000079.html

‘나 죽으면 화장하라’… 장례문화 바뀌었다

사망자 10명중 7명 선택… 대도시일수록 선호

화장(火葬)이 매장(埋葬)을 대신한 주요 장례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사망자 10명 가운데 7명이 화장을 선택할 정도다. 화장을 선호하는 이유는 깨끗하고 관리가 쉽기 때문인 측면이 강하지만 핵가족에 따른 세대 간 결속력이 약화된 탓도 크다. 또 묘지로 잠식되는 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앞장서 화장문화를 권장한 것도 한몫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외국인을 뺀 사망자 25만 5403명 가운데 17만 2276명이 화장으로 장례가 치러져 전국 화장률이 67.5%를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10년 전인 2000년에는 매장률이 66.3%를 차지했다. 10년 만에 문화가 바뀐 것이다.

화장에 대해서는 ‘깨끗하고 위생적이어서’(35.1%), ‘간편해서’(27.0%), ‘관리가 쉬워서’(25.0%) 등을 이유로 꼽았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저출산 고령화와 핵가족화 등으로 가족 간의 결속력이 약해져 묘를 짓는 매장을 꺼리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대도시일수록 화장률이 높았다. 부산의 화장률은 83.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인천(81.1%), 울산(77.7%) 서울(75.9%)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제주(48.3%), 충남(48.4%), 전남(48.4%)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 부산 등 7개 특별·광역시의 화장률은 75.5%였지만 나머지 시·도는 61.8%로 13.7% 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수도권 화장률은 75.5%에 이르렀지만 비수도권은 62.1%에 불과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화장률이 70.6%로 여성의 63.1%에 비해 높았다. 연령이 낮을수록 화장을 원했다. 복지부는 이에 대해 “대도시일수록 묘지공간이 부족해 화장을 희망하는 반면 비도시일수록 화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매장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복지부는 사회 환경의 변화로 향후 화장률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화장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지자체 간 화장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도 완화하기로 했다.

또 자연친화적이고 비용 부담이 적은 수목장을 비롯해 수장(水葬)·풍장(風葬) 등 자연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연장지에 대한 규제도 낮출 방침이다. 현재 전국의 화장시설은 51곳(화장로 277기)이다.

이영준기자

2011-09-10 11면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0910011013

3명중 2명 火葬 택했다…10년새 2배 급증

부산 83% 제주 48%
기사입력 2011.09.09 14:24:49 | 최종수정 2011.09.09 14:57:11

화장(火葬)이 보편화되면서 10년 전보다 장례 시 화장률이 2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외국인을 제외한 사망자 25만5403명 가운데 17만2276명이 화장으로 장례를 치러 전국 화장률이 67.5%에 달했다고 9일 밝혔다. 10년 전인 2000년 화장률(33.7%)의 2배가 넘는 수치다. 하루 평균 화장을 치른 인원은 472명으로 전년(440명)에 비해 32명이 많아졌다.

지역별로는 부산 지역의 화장률이 83.5%로 가장 높았고, 인천(81.1%) 울산(77.7%) 서울(75.9%)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제주(48.3%)가 전국에서 화장률이 가장 낮았고, 충남(48.4%) 전남(48.4%) 충북(50.0%) 등은 저조한 편이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이른바 수도권 지역 화장률은 75.5%로 비수도권(62.1%)에 비해 높았다. 또 서울 부산 울산 등 7개 특별시 및 광역시 화장률은 75.5%로 기타 대도시 화장률(61.8%)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화장률이 70.6%로 여성(63.1%)에 비해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젊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39세 이하 사망자 중에는 87.8%가 화장을 한 반면, 80세 이상에서는 화장률이 58.3%에 그쳤다.

복지부 관계자는 "저출산고령화와 핵가족화로 세대 간 결속력이 약해진 데다 화장이 상대적으로 위생적이고 간편하며 사후관리도 쉬워 매장 대신 새로운 장묘문화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화장률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고 화장시설을 전국적으로 늘려 나갈 방침이다. 전문 장례식장에 화장로 설치를 허용하고, 지방자치단체 간에 화장시설을 공동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을 완화할 예정이다.

이 밖에 자연친화적이고 비용 부담이 작은 `자연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연장지 조성 면적, 구역 등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계획이다.

현재 전국 화장시설은 51개소(화장로 277기)며, 현재 신축 중인 화장시설은 8개소(화장로 57기)다.

[김병호 기자]

http://news.mk.co.kr/v3/view.php?sc=30000001&cm=%ED%97%A4%EB%93%9C%EB%9D%BC%EC%9D%B8&year=2011&no=588713&selFlag=&relatedcode=&wonNo=&sID=301

"국민 73% 본인 장사방법 화장 선호"

(대전=연합뉴스) 이은파 기자 = 우리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은 본인 사망 시 장사방법으로 '화장'(火葬)을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토지행정학회(회장 김태복 전 중부대 교수)가 발표한 '장묘문화 국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본인 사망 시 장사방법에 대해 설문에 응한 903명 중 72.9%(658명)가 '화장'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미결정 13.9%(125명), 매장(埋葬) 11.6%(105명), 기타 1.6%(14명) 등의 순이었다.

화장을 선호하는 이유는 사후관리 편리가 44.6%(287명)로 가장 많았고 국토협소 22.1%(142명), 자연환경 보존 15.9%(102명) 등의 순이었다.

화장 후 유골 처리방법에 대해선 자연장 35.4%(214명), 공ㆍ사설봉안당 29.1%(176명), 공ㆍ사설납골묘 18.9%(114명), 산골 12.9%(78명) 등 순으로 응답했다.

선호하는 장례장소는 병원장례식장이 51.9%(468명)로 가장 많았고 공설장례식장 16.1%(145명), 사설장례식장 12.7%(114명)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의 장사정책 중 가장 먼저 추진돼야 할 시책에 대해선 화장시설 확충 43.8%(389명), 공동묘지 재정비 25.0%(222명), 장사시설 입지 갈등관리 정책 11.9%(106명) 등 순으로 답변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1일부터 2개월간 전국 250여개 시ㆍ군ㆍ구 장사업무 담당공무원 178명과 은하수공원(세종시내 장사시설)을 이용한 국민 725명 등 모두 9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2011/09/06 15:03 송고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9/06/0200000000AKR20110906114000063.HTML

따뜻함이 느껴지는 공동묘지

진달래 추모공원 답사기
2011-09-09 16:49:03 입력

2000년대 이후 국내 화장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고 서울시만 해도 1995년 28.3%에 그쳤던 화장률이 최근 72.2%까지 급등했지만 화장시설은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혐오시설'인 탓에 추가 건립이 쉽지 않아서인데 서울시가 조성 중인 '서울추모공원'도 1997년 처음 추진됐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수년간 착공조차 할 수 없었다. 이렇듯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으로 인해 세상을 떠난 사랑하는 부모나 지인들을 양지 바른 곳에 고이 묻어드리고 싶어도 마음처럼 쉽지가 않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인식들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 바로 추모공원 때문인데, 추모공원은 기존에 우리가 알던 공동묘지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묘원을 마치 공원처럼 꾸민 곳을 말한다. 경치가 좋고 부담 없이 드나들 수 있는 이유로 지역주민들과 묘역을 준비하ᇛ